"인생 허무해" 외치는 중년에게…나쁜남자 니체가 건넨 조언

문득, 인생이 허무하게 느껴진 적 없나요? 
매일 치열하게 살아 왔지만, 마음 한 켠이 공허한 적 없나요?
충분히 먹고 마시고 잘 살고 있으면서도, 초조함을 느낀 적 없나요?

이런 질문에 통찰 있는 대답을 주는 철학자가 있습니다. “신은 죽었다”고 말한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1844~1900)입니다. 어딘가 위험하고, 도전적이지만, 동시에 매혹적인 사상가. 평생에 걸쳐 니체의 철학을 연구하고 알리는 데 앞장선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이진우(69) 명예교수는 “니체에겐 나쁜 남자 같은 매력이 있다”고 말합니다. 니체는 “기존의 사고방식을 망치로 모두 깨부숴야 너만의 철학을 만들 수 있다”고 말하는 파격적인 사람이니까요.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이진우 명예교수는 제8대 계명대 총장, 한국니체학회 회장, 한국 철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김경록 기자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이진우 명예교수는 제8대 계명대 총장, 한국니체학회 회장, 한국 철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김경록 기자

니체는 신이 죽은 시대를 말합니다. 목적과 방향을 잃은 삶의 민낯을 보여주죠. 하지만 누구보다 삶의 의미를 치열하게 고민한 열정적인 철학가이기도 합니다. 우리의 삶이 여전히 살 만한 가치가 있다고 말하고,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조언하며, 지금 이 순간을 사랑하며 살라고 말하죠. 어쩌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질문에 대답해 줄 가장 알맞은 사람일지도 모릅니다.

니체에게 고민 상담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허무한 삶이 고민인 사람에게 니체는 뭐라고 말해줄까요? 만약 니체가 살아 있다면 지금 우리에게 던질 단 하나의 질문은 무엇일까요? 니체의 사상을 정리한 책『니체의 인생 강의』『인생에 한번은 차라투스트라』(휴머니스트) 등을 쓴 니체 권위자 이 교수에게 그 답을 들었습니다.

이런 내용을 담았어요
📌 ‘나쁜 남자’ 니체가 사랑받는 이유
📌 삶이 허무한 중년에게 니체는 뭐라고 할까
📌 잘 살고 있어도 초조한 나, 뭐가 문제지
📌 니체가 묻는다 “당신은 왜 사나?”

✅ ‘나쁜 남자’ 니체가 사랑받는 이유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1844~1900)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1844~1900)

 


니체가 13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사랑받는 이유는 뭘까요?  
니체는 1908년에 발표한 철학적 자서전 『이 사람을 보라(Ecce homo)』에서 “죽은 뒤에야 태어나는 사람들이 있다”고 얘기해요. 당대엔 이해받지 못하지만 죽고 난 다음에야 비로소 가슴을 울리는 사상가, 그게 본인이라는 거죠.

니체가 꿰뚫어 본 시대 정신은 ‘허무주의’예요. 허무주의는 니체가 살았던 시대에도 분명 문제였지만, 누구도 이를 감지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그의 말에 귀 기울인 사람이 없었죠. 130여 년이 지난 지금은 어떤가요. 21세기 문화적 현상에서 허무주의는 당연한 것이 됐죠. 일상이 된 거예요. 그러니 니체가 한 말들이 피부에 와 닿기 시작한 거죠. 우리가 느끼는 실체 없는 불안함, 허무함의 원인을 니체의 글에서 찾고, 거기서 위로를 얻는 겁니다. 그의 예언처럼 죽은 뒤 더 사랑받는 철학자가 됐죠.

근데 ‘허무주의’는 뭔가요?  
100여 년 전까지만 해도 기독교 중심인 유럽 사회에선 신처럼 초월적이고 변하지 않는 진리가 있다고 믿었습니다. 교회에 나가서 기도하고, 신을 믿는 삶이 절대적 가치라고 여기는 것처럼 말이에요. 그런데 니체는 절대적인 진리는 없다고 말했어요. “허무주의는, 너희가 믿는 것이 사실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으니까요. 그리고 도발적으로 이렇게 말합니다. “신은 죽었다”라고. 이 말에 기독교계가 발칵 뒤집어졌죠.

중요하게 여기던 가치들이 사라진다는 뜻인가요?  
서양 문명의 근본이자 핵심적인 가치, 절대적인 진리라고 여겼던 게 신이잖아요. 최고로 여긴 가치가 사라지는 것, 모든 가치가 전도되는 게 바로 허무주의죠. 어느 날 갑자기 신이 사라진다면 어떨까요. 삶의 목적과 방향을 잃고 흔들릴 수 있을 거예요. 그래서 니체는 “삶에 목표가 없다면 그것이 허무주의다. 왜 사는지 대답할 수 없다면 허무주의에 빠진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계속)
니체는 살아있을 때 이미 ‘위험한 철학자’ ‘지적인 병균’이란 소리까지 들었습니다. ‘나쁜 남자’의 매력을 갖고 있는 니체는, 이에 대해 뭐라고 반박했을까요? 삶이 허무한 중년에게, 니체는 매일 아침 ‘이 것’을 하라고 제안하는데요. 이 것은 무엇일까요?   

※이진우 교수 인터뷰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나쁜 남자 망치에 맞아보라” 허무한 중년, 유혹하는 니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448 

추천! 더중플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제 발 저리는 세상 만들자”…‘비겁한’ 최재천의 양심선언
계엄과 탄핵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당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최재천 석좌 교수는 2025년 키워드로 ‘양심’을 꼽았다. 비겁하게 살아왔지만, 때로는 위험천만한 일에 겁 없이 나섰다는 최 교수의 통렬한 양심선언을 들어봤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122 

▶이경규 “이거 참 미치겠더라” 44년 개그맨 대부의 질투
총성 없는 무한 경쟁의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영원한 현역’이 되는 것, 그것은 어떻게 가능할까? 지금도 고정 프로그램 3개, 시나리오 집필, 매니지먼트사 대표 업무까지 왕성하게 활동하는 힘은 어디에서 나올까? 실패가 두려웠던 적은 없을까? 어디에서도 듣지 못한 이경규의 삶과 죽음, 불안과 두려움에 대하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376 

▶“한강, 달변 아닌데 신기했다” 스피치 전문가도 놀란 연설
‘말하기 전문가’ 미국 로체스터대 이영선 교수는 수려한 말하기 보다, 듣는 사람에게 ‘저 사람의 말에 메시지가 있네’라고 느끼게 하는 말하기가 더 울림이 크다고 했다. 대표적인 예로 한강 작가를 꼽았는데, 목소리도 작고 천천히 말하고 청중을 보지도 않는 한강 작가를 왜 최고의 연설자로 꼽았을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6345 

▶“자본주의 괴물 되더라도…” 다리 절단한 남자의 자전거 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976

▶“죽을 권리를 왜 안 줍니까” 4000명 보낸 의사의 깨달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291

▶"왜 하필 나야!" 절규했다…아빠·엄마·할머니·남편잃은 그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