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5월 셋째주(5월 1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3%로, 전주(0.10%)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이로써 서울은 16주 연속 상승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아파트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상승폭이 전주보다 커졌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으로 한동안 관망세를 보이던 서울 아파트 시장은 '똘똘한 한채' 선호와 일부 고가 아파트의 재건축 기대감 등으로 매수 심리가 되살아나는 모양새다.
2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5월 셋째주(5월 1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13%로, 전주(0.10%)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이로써 서울은 16주 연속 상승했다.
반대로 지방은 0.04% 내리며 전주(-0.02%)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이처럼 서울과 지방의 온도차가 확연한 가운데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에 이어 보합(0.00%)을 유지했다.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실, 국회 이전 기대감 등으로 최근 급등세를 보인 세종시는 이번주도 0.30% 오르며 상승세를 지속했다.
서울의 자치구별 매매가격 동향을 들여다보면 강남권의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강남(0.19%→0.26%), 서초(0.23%→0.32%), 송파(0.22%→0.30%) 등은 일제히 매매가격 상승률을 확대했다. 시장의 '똘똘한 한채' 선호가 여전한 것으로 관측된다.
나아가 양천(0.13%→0.22%)을 필두로 영등포(0.13%→0.16%), 강동(0.17%→0.19%), 동작(0.12%→0.13%), 성동(0.18%→0.21%), 광진(0.09%→0.11%). 용산(0.15%→0.16%) 등도 가격 상승폭을 키웠다.
특히 양천은 목동, 영등포는 여의도 등 재건축 단지에서 최근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한주 전까지 하락세였던 강북, 도봉, 노원도 모두 보합을 나타냈다.
인천(-0.02%→0.00%)은 보합을 나타냈으며 경기(0.00%→-0.01%)는 하락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