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로이터=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반도체 수입액은 최고 1조엔(약 9조5000억원)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
일본 정부는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엔비디아 제품을 염두에 두고 이 같은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는 자국 정보통신(IT) 기업을 대상으로 보조금을 지급해 미국산 반도체 구매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아사히는 전했다.
아울러 일본은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웨이퍼, 화학 약품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책도 미국 측에 제안했다.
아사히는 "일본과 미국이 공급망을 강화하는 것이 경제 안전보장 확보로 연결된다는 점을 강조하려 한다"고 해설했다.
일본은 지금까지 농산물 수입 확대, 자동차 수입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조선 분야 협력 등도 미국에 '교섭 카드'로 제시했다.
하지만 미국은 상호관세에서 일률적으로 부과된 10%에 더해 국가별로 차등 추가 적용한 관세(일본은 14%)에 대해서만 협의가 가능하고, 자동차 관세 등 품목별 관세 조정에 대해서는 난색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은 대미 수출에서 30%가량을 차지하는 자동차 관세 인하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양측 간 견해차는 여전히 큰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 관세 담당 각료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29일 미국으로 출국해 30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등과 4차 관세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