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는 무심코 반복하는 둠스크롤링이 정신 건강에는 악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대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영선 과장은 “부정적인 뉴스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현실을 지나치게 비관하게 되거나 불안·우울, 수면 장애 등을 겪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불안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정상적인 감정이다. 주로 스트레스, 고통, 위험이 예상되거나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타나며 긴장감 같은 정신적 반응과 함께 근육 긴장, 빠른 호흡, 땀 분비 증가, 두통 등의 신체적 증상도 동반한다.
이러한 반응은 일반적으로 위험에 대비하거나 적응하기 위한 자기방어적 과정이다. 하지만 오랜 기간 지속하거나 감정 조절이 어려울 정도로 강해져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단순 불안을 넘어선 불안 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다. 특히 ▶특별한 이유 없이 불안하고 초조한 경우 ▶일어나지 않은 위험 상황을 크게 걱정하는 경우 ▶최악의 상태만 상상하는 경우 ▶사소한 것에 크게 걱정하는 경우 ▶주위에서 도와주지 않거나 도움이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등이 반복되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통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둠스크롤링은 단순한 습관이 아닌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한 정보 소비 방식이다. 예방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의식적인 조절과 자기 관리 습관이 중요하다. 유 과장은 “소셜미디어 사용 시간은 하루 30분 이내로 제한하고 믿을 수 있는 출처의 뉴스와 긍정적인 내용 중심으로 콘텐트를 소비하도록 한다”며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활동을 병행하는 것도 정신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