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진이 혈액검사를 위해 채혈하고 있다. 뉴스1
현재 국가암검진제도는 40세 이상 성인에게 2년 단위로 위내시경 검진을 지원한다. 이는 국내 위암 환자의 조기 발견, 치료 성적 향상을 이끌어왔다.
하지만 검진의 '틈'은 여전히 남아있다. 제도 밖에 있는 40세 미만의 젊은 위암 환자가 점점 늘고, 70대 이상에선 신체적 부담으로 위내시경 받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서다. 다만 비용·건강 등의 한계로 검진 적용 대상을 무조건 넓히거나 적극적으로 검사를 시행하긴 쉽지 않다.
김나영·최용훈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은 검사가 필요한 위암 고위험군만 가려내는 '선별 전략'에 초점을 맞췄다. 실마리는 혈액검사 기반의 '혈청 펩시노겐 키트'(가스트로패널)에서 찾았다. 위암의 대표적인 징후인 위축성 위염 정도를 보여주는 혈청 펩시노겐 수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여부를 동시에 검사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이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위내시경·혈액검사를 받은 2200여명을 분석한 결과, 펩시노겐 수치(펩시노겐Ⅰ/Ⅱ 비율)가 5.3 이하로 낮아졌을 때 위암 전단계인 위선종(위에 발생하는 용종)과 위암 위험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왔다. 특히 펩시노겐 수치가 5.3 이하면서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음성일 경우, 위선종·위암 발병 위험은 일반인과 비교해 각각 3.36배, 2.25배 컸다. 일반적으로 헬리코박터균 음성은 긍정적이지만, 연구팀은 위축성 위염 등이 크게 진행돼 아예 헬리코박터가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이 된 것으로 해석했다.

연구를 진행한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최용훈 교수(왼쪽부터). 사진 분당서울대병원
김나영 교수는 "정기적인 내시경 검진이 어려운 고령층이나 아직 국가검진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젊은층은 위암을 조기에 발견할 기회를 놓치기 쉽다. 이번 연구는 사각지대 환자에게 혈액검사 기반의 선별 전략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