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7월 1일 서울 중구 '시청역 교차로 역주행' 사고현장에 국화꽃 등 추모 물품들이 놓여져 있다. 뉴스1
급발진 사고에 대비해 보행 환경은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 서울시는 사고 직후 해당 지점에 8톤 차량이 시속 55㎞, 15도 각도로 충돌해도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방호울타리를 설치했다. 기존에 설치된 울타리는 단순히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막는 용도로 m당 20만원의 설치비가 들었다면, 차량용 방호울타리는 m당 40만원의 설치비가 든다. 서울시는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합동조사를 통해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보행취약구간 101곳에 방호울타리를 설치하고 있다. 또 운전자가 주행방향을 혼동할 가능성이 높은 일방통행 이면도로의 시인성도 개선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30일 “58개 일방통행 구간에 회전금지나 진입금지 교통표지판을 LED 표지판으로 교체했고, 사고우려 지역을 계속 발굴해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9월 24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 역주행 교통사고 현장에 차량용 방호울타리가 설치돼 있다. 뉴스1
하지만 고령 운전자 사고 예방을 위해 제도 개선부터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30일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가 낸 교통사고는 2020년 3만1072건에서 지난해 4만2369건으로 36.4% 급증했다. 같은 기간 전체 교통사고는 20만9654건에서 19만6349건으로 감소했다. 반면 고령 운전자가 낸 사고 비율은 2020년 14.8%에서 지난해 21.6%로 대폭 커졌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5년 이후 최고치다.

신재민 기자
페달 오조작 25%가 65세 이상 운전자
토론회의 발제자였던 한상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조건부 면허는 고령자의 운전을 제한하는 게 아니라 안전하게 계속 운전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70세 이상 운전자의 면허 반납도 독려하고 있다. 면허를 반납할 경우 20만원 상당의 교통카드를 지급하고 있지만, 반납률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