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정례 브리핑에서 “방역당국의 관리가 어려운 소규모 시설이나 소모임을 통한 감염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당국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22~28일)간 새로 확인된 집단감염은 7건인데 대부분 5~10명이 모이는 작은 모임과 관련돼있다.
해외사례인 러시아 국적 냉동화물선 선원 집단감염과 경기 이천시 쿠팡 덕평물류센터 감염을 빼면 왕성·주영광·중앙침례교회 등 교회 관련 3건과 소모임 관련 2건(경기 성남의 이웃모임, 서울 여의도 자동차 모임)이다.
교회 관련해선 예배가 아닌 교인들 간 모임에서 감염이 확산된 것으로 당국은 추정한다.

서울 관악구 왕성교회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 여파가 거세지는 가운데 29일 오전 서울 관악구 보건소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 시민들이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뉴시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은 지난 26일 브리핑에서 “지표 환자(초발 환자)는 성가대 연습과 교회 수련회(MT)에 모두 참석했다. 두 행사가 감염 경로일 가능성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회 관련 확진자는 29일까지 28명으로 늘었다.
주영광교회에서도 현재 관련 환자가 22명(29일 기준) 확인됐는데 소모임이나 식사 등을 통한 전파에 무게가 실린다. 7명의 환자가 확인된 중앙침례교회 감염 또한 정규 예배가 아닌 교인 간 모임이 경로로 지목된다.

27일 경기 안양에 있는 주영광교회. 연합뉴스
예배에서는 그나마 거리 두기 등이 지켜지고 있지만 교리공부나 친목 목적의 소모임이 위험지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정 본부장은 “최근 확진자가 발생한 종교시설 관련한 역학조사 결과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거나 미흡하게 착용하는 등 생활방역수칙이 준수되지 않았다”며“찬송 또는 식사, 소모임 등 침방울이 많이 전파될 수 있는 그런 활동들이 많았다”고 전했다.
소모임을 통한 전파 사례는 계속 발생하고 있다. 방문판매 연관으로 추정되는 서울 강남구 역삼동 모임 관련 감염도 다수 인원을 대상으로 한 판매·교육행사가 아닌 작은 모임에서 비롯됐다.
지난 25일 곽진 방대본 환자관리팀장은 “방문판매와 관련된 업체의 사무실에서 소규모 모임이 있었고 이 모임을 통해 감염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상적인 모임에서도 감염자가 잇따른다. 경기 성남시 수정구의 한 이웃 모임에선 관련 환자가 현재까지 7명으로 늘었다. 서울 영등포구 자동차 모임 관련 감염자도 6명 확인됐다. 모두 친목을 바탕으로 한 소모임이다.

코로나19 브리핑하는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 연합뉴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28일 종교 관련 소모임에 대해 “종교모임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위험시설, 고위험 행동으로 규제할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목적을 더 엄밀하게 정해서 ‘정밀타깃’하는 방안 등을 활발하게 논의하고 있다”며 “조만간 실증사례를 중심으로 조치를 강구하고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태호 반장은 29일 “소모임은 항상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계속해서 침방울을 발생하는 상황에서 모든 소모임은 기본적으로 감염을 전파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종교모임의 경우 특히 여름철에 연수나 수련회 등 각종 모임이 많이 계획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방역수칙을 지키기 어려운 소모임은 가급적이면 가지 말아달라”고 재차 강조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