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활동가들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민주당 다주택자 의원들의 주택 처분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경실련은 "지난 1월 민주당은 투기과열지구 등에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한 총선 출마자들에게 '실거주 주택 1채를 제외한 주택을 모두 매각하겠다'는 서약서를 쓰게 했지만 의원들은 서약을 이행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실련은 "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에게 1주택 외 처분 권고대상자 명단, 권고 이행 실태 등을 밝히라고 요구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면서 "당 대표와 원내대표는 보여주기식 처분 권고에 대해 사과하고 즉각 서약을 이행하라"고 요구했다.
또 "민주당은 부동산 거품 제거와 투기 근절에 앞장서야 함에도 스스로 투기 세력이 돼 종부세는 인상하면서도 다주택자에 대한 세재 혜택을 유지하는 등 부동산 개혁에 반대해왔다"고 주장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지난 총선에 당선됐던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국회의원 180명 중 23%에 이르는 42명이 다주택자다. 그중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에 다주택을 보유한 의원은 21명이다. 이 가운데 경실련은 시세 조사가 가능한 의원 9명을 대상으로 지난 5년 부동산 자산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조사했다.
민주당 소속이었던 박 의장의 부동산 재산은 2016년 3월 35억6000만원에서 지난달 59억4750만원으로 23억8350만원(69%) 늘어났다. 6선인 박 의장은 지역구 대전 서구와 서울 서초구에 아파트를 각각 1채씩 보유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박 의장 측은 "대전 집은 지난 5월 민주당의 1가구 1주택 원칙에 따라 처분했다"며 "서초구 아파트는 재건축 관리처분에 들어가 향후 3년간 매각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이 지역구인 충북 청주 아파트를 처분하기로 하고, 서울 서초구 반포동 부동산을 유지하기로 해 빈축을 산 바 있는데, 박 의장 역시 지역구 부동산 대신 강남 부동산을 선택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박 의장의 뒤를 이어 김병욱(재선·경기 성남분당을) 의원도 경기 성남 분당에 아파트 2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김 의원 측은 "아파트 1채는 지난해 돌아가신 부모님으로부터 상속받은 것이고 매물로 내놓은 상태"라고 해명했다. 이상민(5선·대선 유성을) 의원도 3억3500만원(80%)의 시세 차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의원 부동산 보유 현황 자료. 표 경실련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 김홍걸 의원은 서울 강남과 서초, 마포에 각각 1채씩 주택을 보유한 3주택자다. 김 의원 재산은 신고가액 기준 76억4700만원이다. 이에 김 의원 측은 "최근 상속받은 마포구 동교동의 김대중 전 대통령, 이희호 여사 자택(30억원) 가액이 반영된 재산"이라며 "민주당 비례 정당인 더불어시민당 소속으로 출마했을 때는 '1가구 1주택' 서약 적용 대상이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강남에 보유한 아파트에 대해서도 김 의원 측은 "최근 매물로 내놨는데 아직 팔리지 않았다"고 했다.
김헌동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장은 기자회견에서 "민주당은 국민에게는 집을 팔라고 위협하면서 뒤로는 이같이 투기를 조장해왔다"고 비판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 알려왔습니다 : 2020년 7월 7일
경실련의 이날 현황 자료 발표 뒤 김병욱 의원실은 아파트 1채에 대해 "지난해 돌아가신 부모님에게 상속받은 것이고 매물로 내놓은 상태"라고 알려와 반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