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해부대 호르무즈 해협 인근 도착…"구출작전은 비현실적”

청해부대 최영함(4천400t급)이 이란 혁명수비대의 한국 국적 화학 운반선 나포 상황 대응하기 위해 호르무즈해협 인근 해역에 도착했다. [사진 연합뉴스]

청해부대 최영함(4천400t급)이 이란 혁명수비대의 한국 국적 화학 운반선 나포 상황 대응하기 위해 호르무즈해협 인근 해역에 도착했다. [사진 연합뉴스]

 
정부 관계자는 5일 “청해부대가 새벽(한국시간) 호르무즈해협 인근 해역에 도착해 임무 수행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전날인 4일 이란 혁명수비대가 한국 국적의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호를 나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오만의 무스카트항 남쪽 해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던 중 호르무즈해협으로 급파됐다.

청해부대는 사태 수습을 위해 미국과 공조하는 한편 외교부ㆍ해양수산부 등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청해부대, 호르무즈 해협으로 파견 지역 확대. 그래픽=신재민 기자

청해부대, 호르무즈 해협으로 파견 지역 확대. 그래픽=신재민 기자

 
청해부대는 2009년 3월부터 아덴만 일대에서 한국 국적 선박을 호위하고, 현지에 있는 한국 국민이 위험에 빠졌을 때 구출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최영함과 같은 한국형 구축함(4400t급)이 6개월씩 임무를 교대한다.

정부는 지난해 1월 청해부대 파견지역을 호르무즈해협까지 확대했다. 미국 주도의 호르무즈 호위 연합인 국제해양안보구상(IMSC) 참여를 요청받았으나 여기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파병’하는 형식이다.


독자파병은 이란과 마찰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미국의 요청을 간접적으로 수용한다는 절충안이다. 앞서 일본도 IMSC에 참여하지 않고 ‘조사ㆍ연구’를 명분으로 호위함과 초계기를 출동시켰다.

최영함은 그래픽=김주원기자 zoom@joongang.co.kr

최영함은 그래픽=김주원기자 zoom@joongang.co.kr

 
현재 청해부대로 파견된 최영함엔 평소 승조원 규모 200명보다 많은 300명이 탑승하고 있다. 해군 특수전전단소속 검문검색 대원과 함정 경비 임무를 지원하는 해병대와 항공파견대 등이 추가됐다.

최영함은 함정 길이 150mㆍ폭 17.4mㆍ깊이 7.3m 크기에 최대 속력은 시속 29노트(54㎞)까지 낸다. 127㎜ 함포와 함대함 순항미사일 ‘해성’, 대잠 유도무기 ‘홍상어’도 탑재해 강력한 공격능력을 갖췄다. 여기에 SM-Ⅱ 대공미사일도 탑재해 최대 140㎞ 밖에서도 적 항공기를 격추할 수 있고, 근접방어무기체계를 갖춰 미사일 방어도 가능하다.  

2011년 1월 21일 청해부대가 아라비아해에서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납치된 우리 화물선 삼호주얼리호 선원을 구출하고 해적을 모두 제압했다. 사진은 UDT 작전팀이 선교에 해적을 진압한뒤 신속하게 선원들을 대피시키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2011년 1월 21일 청해부대가 아라비아해에서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납치된 우리 화물선 삼호주얼리호 선원을 구출하고 해적을 모두 제압했다. 사진은 UDT 작전팀이 선교에 해적을 진압한뒤 신속하게 선원들을 대피시키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최영함은 앞서 청해부대로 파병됐던 2011년 1월 삼호쥬얼리호 선원 21명을 전원 구출한 ‘아덴만 여명작전’, 그해 4월 ‘한진텐진호 선원 구출 작전’에 성공한 경험이 있다.

하지만 호르무즈해협은 수심이 낮고 내륙과 인접한 좁은 바다로 공중과 바다 모두에서 위협에 노출돼 있다. 이에 해군은 파병에 앞서 어뢰ㆍ미사일ㆍ드론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장비와 훈련을 보강했다.

호르무즈해협 파병, 청해부대 경계 대상 3. 그래픽=신재민 기자

호르무즈해협 파병, 청해부대 경계 대상 3. 그래픽=신재민 기자

관련기사

 
또한, 이란 정규군은 해적과 다르다. 각종 탄도미사일과 잠수함으로 무장하고 있다. 북한에서 천안함 공격에 쓰인 어뢰도 수입해 배치한 상황이다. 한국 국적 선박은 이란 항구에 묶여 있지만,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기도 어렵다.

무엇보다 한국인 선원 등 인명 안전과 억류 해제가 최우선인 만큼 청해부대의 움직임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해군 군함을 현지로 급파해 상황 파악과 압박에 나서지만, 당장 최영함 한 척으로 군사작전을 벌이는 건 외교적으로도, 군사적으로도, 한국인 억류자 안전 측면에서도 현실성이 없다는 게 군 안팎의 일반적인 판단이다. 

박용한 기자 park.yongha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