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1/16/99d488e6-9ef3-4a67-b55d-275740f95c5b.jpg)
[사진 셔터스톡]
16일 문화체육관광부의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2020년 9월~2021년 8월)간 성인 중 종이책과 전자책·소리책(오디오북) 등을 1권이상 읽거나 들은 사람의 비율인 '종합 독서율'이 47.5%로 집계됐다. 지난 2019년보다 8.2%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또 성인의 연간 평균 종합독서량은 4.5권으로 2019년 조사 때보다 3권 줄었다.
초·중·고교 학생이 교과서·참고서 등을 제외하고 책을 1권 이상 읽는 비율(독서율)은 91.4%로 성인보다는 높았지만, 지난 조사 때보다 0.7%포인트 줄었다. 종합 독서량은 34.4권으로 지난 조사때보다 6.6권 감소했다.
하지만 20대 청년층(만 19~29세)의 독서율은 78.1%로 2019년보다 0.3%포인트 소폭 증가했고, 모든 성인 연령층과 비교해 높은 독서율·독서량을 보이는 것으로 집계됐다.
20대 독서율·독서량 늘었는데…"웹소설 영향"
백원근 책과사회연구소 대표는 20대 독서율 증가에 대해 "특정 연령대 독서율이 늘어나는 건 근 10년 내 보기 드문현상"이라며 "조사에서 전자책·오디오북까지 합해서 독서율이 올라갔기 때문에 뉴미디어 영향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웹소설·오디오북을 많이 이용하는 게 20대다. 그나마 선방했다·살아남았다 정도지, 정말 책을 많이 읽게 된건 아니라 상대적으로 강조할만한 부분은 아니다"라며 "종이책 독서율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건 스마트폰·OTT 등 여러 매체환경의 변화가 큰 요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책 안읽는 이유? "일하느라" "다른거 보느라"
'독서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 성인은 '일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26.5%), '다른 매체·콘텐트 이용'(26.2%) 등이라 답했고, 학생은 '스마트폰, 텔레비전, 인터넷 게임 등을 이용해서'(23.7%)를 가장 큰 장애 요인이라 꼽았다.
한편 격년 단위로 이뤄지는 이번 조사는 지난해 9~11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6천 명과 초등학생(4학년 이상) 및 중·고등학생 3320명을 대상으로 성인은 면접조사, 학생은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