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터스톡]](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1/17/ef437e1b-df7b-4107-b3b8-57262bceb035.jpg)
[셔터스톡]
17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노동법제가 기업 경영에 부담이 된다는 응답이 60.0%에 달했다.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20.9%, 별로 부담이 없다는 응답은 19.1%에 그쳤다.
최근 몇 년간 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제도는 '주 52시간제'(52.4%)로 나타났다. 이어 '최저임금 인상'(44.8%), '중대재해처벌법'(41.9%) 순이다.
전경련은 "주 52시간제가 규모별, 산업별 구분 없이 획일적으로 시행되면서 산업 현장에서 충격이 컸다"며 "탄력적 근로시간제의단위 기간을 1년으로 확대하거나 독일처럼 근로시간을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근로시간계좌제, 고소득자에 한해 근로시간 규제 적용을 제외하는 미국의 '화이트칼라 이그젬션' 등의 도입을 통해 근로시간에 대한 유연한 운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올해 가장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노동 부문 현안에서는 '최저임금 인상'(38.1%)이었다. 이어 '정년연장 논의'(35.2%), '근로시간면제 심의 결과'(31.4%) 순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최저임금 결정을 둘러싼 매년 반복되는 노사갈등은 기업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올해는 계속 고용제 등 정년연장에 관한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고, 노조 전임자의 근로시간 면제 한도를 재설정하기 위한 심의가 9년 만에 열리면서 새로운 노동 현안 이슈도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새 정부가 가장 개선해야 할 노동 과제로는 '중대재해처벌법'이 28.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로시간 규제 완화'가 23.8%, '최저임금제 개선'이 21.9%, '기간제·파견법 규제 완화'가 11.4% 순으로 뒤를 이었다.
한편 기업들이 올해 인사·노무 중점방향으로 가장 높게 꼽은 것은 '유연근무제 확산'(46.7%)이었다. 이어 '노사관계 안정화'가 42.9%, '신규인재 확보'가 32.4%로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유연근무제, 재택근무 등 근로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는데, 기존의 획일적이고 경직적인 노동법제로는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근로시간을 유연화하는 것은 물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전반적으로 낡은 노동법제를 재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