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사회복지사 호봉제 도입…아동학대 관리 공무권한 드려야"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지난달 31일 서울시 강북구 수유재래시장을 방문, 시민과 포옹하고 있다. 뉴스1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지난달 31일 서울시 강북구 수유재래시장을 방문, 시민과 포옹하고 있다. 뉴스1

 
안철수(사진)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17일 아동학대 방지 대책과 관련해 "아동학대 방지 사례를 관리하는 분들에게 공무 권한을 드리도록 법에 명시해야한다"고 했다. 또 사회복지사의 열악한 처우 개선을 위해 호봉제 도입이 시급하다고도 했다. 

안 후보는 이날 서울 문래동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무실에서 '복지국가실천연대' 초청으로 열린 정책간담회에 참석해 2030 청년 사회복지사 10여 명과 대화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안 후보는 '아동 학대 방지와 아동 보호를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대해 "아동학대를 조기에 발견하고 보호조치를 하는 업무가 중요한데, 업무를 수행하는 제일 어려움을 겪는 게 권한 부족이라고 한다. 부모들이 집안에 못 들어오게 하면 아무 방법이 없다는 것"이라며 "학대 방지 사례를 관리하는 분들에게 공무 권한을 드리도록 법에 명시해야 원래 취지대로 아동을 보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교육기관에서 아동학대 사례 관리에 필요한 모니터링 전수조사 업무에 협조적이지 않은 부분이 많아서 이런 문제도 고쳐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전국에 73개인데 숫자가 워낙 부족해서 상담원 한 분이 평균 41명의 아이를 돌보고 있다. 저는 최소한 상담원 1인당 학대아동 사례관리 비율을 지금의 반으로 줄이겠다"고 공약했다. 


이어 아동 장기 보호 생활시설인 '그룹홈'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로부터 '열정페이' 문제를 지적받고는 "복지예산이 엄청나게 늘었는데 사회복지사 처우는 거의 변함이 없다. 10년을 일해도 호봉제가 적용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일노동 동일임금, 전국에 단일 임금체제, 호봉제 도입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변해 박수를 받았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안 후보는 "처우도 굉장히 열악하고, 의사 같으면 폭행을 당했을 때 가해자가 가중 처벌되는 등 비교적 법으로 보호돼 있는데 사회복지사분들은 그렇지 못하다"며 안전 문제 등 현장 목소리를 듣고 해결 방법을 찾겠다고도 약속했다.

안 후보는 이날 청년들에게 서울대 의대 교수를 그만두고 백신 V3 개발을 위해 중소기업을 창업했을 때 일화를 소개하며 '멘토'로서의 조언도 건넸다. 안 후보는 "많은 분이 제 경력을 보고 이 사람은 고생 하나도 안 하고 살았던 사람이라 생각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아니다"라면서 "절대 다른 사람과 나를 비교하지 말고, 한참 머리가 복잡할 때 그 시간을 견디는 방법을 개발하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