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국가청렴도 세계 32위…5년 연속 상승

사진 한국투명성기구

사진 한국투명성기구

한국의 국가청렴도 순위가 세계 180개국 가운데 32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33위보다 1계단 오르는 등 5년째 상승 중이다.  

독일 베를린에 본부를 둔 국제투명성기구(TI)는 25일 세계 180개국을 대상으로 한 2021년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가청렴도 1위는 덴마크·핀란드·뉴질랜드(88점)가 공동으로 차지했다.

이어 노르웨이·싱가포르·스웨덴이 85점으로 공동 4위에 올랐다. 시리아·소말리아가 각각 13점을 받아 공동 178위, 베네수엘라는 14점을 받아 177위였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홍콩(12위·76점)과 일본(18위·73점) 대만(25위·68점)이 한국보다 좋은 평가를 받았다.  


북한은 16점을 받아 아프가니스탄·예멘과 함께 공동 174위에 올랐다.

한국은 62점을 받아 32위를 차지했다. 2016년 53점을 받아 52위를 차지한 이래 5년 연속 순위가 상승(52→51→45→39→33→32)했다.  

한국투명성기구는 “2021년 한국의 부패인식지수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국가위험지수 등 정치 부문의 청렴도가 개선됐다는 점과 국가경쟁력지수 등 경제활동 관련 지표에서 개선이 보인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부패인식지수는 공공부문 부패에 대한 전문가와 경영자 인식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지표다. 베텔스만재단·세계경제포럼·정치경제위험자문공사·정치위험서비스그룹 등 국제단체들의 원천자료가 사용된다. 70점대를 ‘사회가 전반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평가하고, 50점대는 ‘절대부패로부터 벗어난 정도’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