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이번 세수 재추계에서 올해 세입 전망은 총 396조6000억원으로 본예산(343조4000억원)보다 53조3000억원이 늘었다. 기재부는 “기업실적 개선, 소비회복 및 수입액 증가에 따라 3대 세목인 법인세ㆍ근로소득세ㆍ부가가치세 등이 당초 예상보다 많이 걷힐 것으로 예상된다”며 “3월까지 세입 실적을 감안해 크게 증가한 세목과, 감소할 것으로 봤으나 반대로 증가한 양도ㆍ상속증여세 등의 세목을 재추계했다”고 설명했다.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구체적으로 법인세는 올해 104조1000억원으로 당초 예상보다 29조1000억원이 늘어날 것으로 봤다. 이번에 늘어난 초과 세수의 54.6%를 차지한다. 올해 법인세는 지난해 기업 실적을 기준으로 납부하는데, 지난해 반도체ㆍ금융ㆍ철강ㆍ정유 등 주요 기업의 실적이 개선된 덕을 봤다. 법인세는 올해 3월 현재 벌써 전년 대비 10조9000억원이 더 걷혔다.
고용이 늘고 임금이 상승해 근로소득세는 10조3000억원, 수입액 증가 및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부가가치세는 1조8000억원 각각 더 걷힐 것으로 예상했다. 양도소득세는 지난해 예산안을 짤 때만 해도 올해 39%나 감소할 것으로 추계했으나, 이번 재추계에선 지난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파악했다. 이에 따라 양도소득세수는 11조8000억원 증가한다.
초과 세수 덕에 '빚' 없이 추경
문제는 지난해 61조4000억원 규모의 초과 세수로 사상 최대의 세수 오차를 낸 기재부가 올해도 역대급의 세수 오차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빚잔치’ 논란은 벗어났다지만, 당초 추계보다 15.5%의 오차가 발생하면서 ‘고무줄 세수’ 비판은 피하기 어렵게 됐다. 빗나간 세수 추계는 비효율적인 재정 운용으로 이어지게 되고, 반복되는 세수 오차는 정부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는 점에서다.
당장 야권에서는 기재부에서 의도를 가지고 오차를 낸 것이라 의심하며 국정조사까지 밀어붙일 분위기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KBS와의 인터뷰에서 “기재부와 예산 당국이 세수 규모를 자기들 필요에 따라 고무줄처럼 늘였다 줄였다 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며 “지난해 50조원 초과 세수가 발생했을 때도 (제가) 국정조사 사안이라고 얘기했는데 지금이야말로 그런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재부의 의도가 있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조사를 해봐야 알 것”이라며 “(이미 1차) 추경을 하고도 또 53조원의 초과 세수가 나온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野, "기재부의 재정 쿠데타"
이런 지적에 대해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지난해 초과 세수가 있었는데, 이번에도 문재인 정부의 각료·기재부 하에서 늘어난 것”이라며 “자신들이 여당 시절에 추계했던 것을 ‘왜 틀렸냐’고 그러면서 국가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라고 얘기를 하는 데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기재부 관계자도 “올해 1월 1차 추경 당시 초과 세수를 예측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는데, 1월 세수 실적도 확인되지 않은 시점에서 세수를 재추계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며 “매달 세수 실적이 공개되는 상황에서 인위적으로 세수를 늘릴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