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19일 국회에서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했다. 김성룡 기자
尹과 근무 경험 있거나 특수통… '중용'의 조건
부패, 경제범죄에 연루된 정·재계 인사를 상대하는 특수 수사는 주로 수사력이 뛰어난 검사들이 맡는다. 여론의 주목도 역시 높아 성과를 드러내기도 수월하다. 이 때문에 특수통이 전면 배치된 이번 인사를 두고 “자격이 있는 사람들이 자리를 차지했다. 수사 역량을 고려하면 이해할 수 있다”(서울지역 부장검사)라는 평이 따른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특수통 약진에… “예상은 했지만 심하다”
또 다른 부장검사도 “윤 대통령이 직접 경험한 검사들만 중용한다면 그만큼 인재풀을 줄인 것”이라며 “특정 조건을 갖추지 못한 대다수 검사에겐 높은 벽처럼 느껴진다”고 지적했다. 검사장 출신 변호사는 “인원 비율로 따지면 특수통은 극소수”라며 “끼리끼리 인사가 부작용을 낳는다는 점을 한 장관도 알고 있을 거다. ‘비(非)윤’ 검사들을 중용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야당도 이번 인사를 두고 윤 대통령 측근 중심의 "편향 인사"라고 비판했다. 19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한정 민주당 의원은 "이번 대검 인사가 납득하고 수긍할 수 있는 인사라고 평가하느냐"고 물었다. 이에 한 장관은 "능력과 공정을 기준으로 소신 인사를 했다"고 답했다.
같은 당 김승원 의원이 “개인적인 인연에 의한 인사, 특수부 출신 인사, 또 전 정권에 대한 수사를 담당했던 사람들에 대한 인사 위주로 이뤄졌다"고 지적한 데 대해서도 한 장관은 "오해”라고 답했다. 그는 "이번에 승진한 사람의 면면과 과거에 일해오던 경력을 보면 누구나 수용할만한 능력과 인품을 갖췄다고 판단해서 제 책임하에 임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취임 만 하루 만인 지난 18일 검찰 고위 간부 인사를 단행했다. 1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모습. 연합뉴스
인사위 생략… '검찰공화국' 우려 키울 수도
이를 두고 오병두 홍익대 법학과 교수는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스스로 천명했던 입장과 원칙에서 맞는 인사인가, 자기 모순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오 교수는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 시절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의 인사에 대해 '총장과 협의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던 사실을 상기하며 "검찰총장이 없는 상태에서 주요 보직을 인사한 것은 모순된다"고 밝혔다. 참여연대 공익법센터 소장을 지낸 양홍석 변호사도 "한 장관이 문 정부의 검찰 인사를 비판했던 만큼 더 엄격하게 절차를 지켰어야 한다"며 "장관 취임 이튿날 속도전으로 인사를 단행했는데, 검찰 공화국이란 우려를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