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장충남 남해군수 후보가 경남 남해군 남해읍 선거사무소에서 당선이 확실시되자 지지자들과 기뻐하고 있다. 독자 제공
국민의힘이 휩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남 선거판에서 현직 남해군수인 민주당 장충남(59) 후보가 당선됐다. 장 당선인은 역대 남해군수 선거에서 김두관 현 국회의원에 이어 두 번째로 재선에 성공한 민주당 계열 남해군수가 됐다.
장 당선인은 이날 개표 결과 56.14%를 득표하면서 43.85%를 얻은 국민의힘 박영일(67) 후보를 약 12%p 차이로 제치고 당선됐다. 그는 “남해군민의 위대한 승리의 날이다. 민심은 위대했다”며 “지난 4년 동안 쌓아올린 성과 위에 빛나는 금자탑을 세워야 할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당선 소감을 밝혔다.
![[그래픽] 2일 오전 6시 기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시·군·구의장 정당별 분포. 경남의 시장·군수 선거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대다수 당선됐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2/abe503f0-2eff-48e5-8d7e-06178828ab05.jpg)
[그래픽] 2일 오전 6시 기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시·군·구의장 정당별 분포. 경남의 시장·군수 선거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대다수 당선됐다. 연합뉴스
盧·文 고향도 잃은 민주당... 남해만 ‘수성’
의령군, 하동군, 함양군 등 3개 군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당선됐다. 이들은 국민의힘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자 무소속 출마한 당선인이다. 국민의힘은 무소속 당선인의 복당을 불허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복당이 될 경우 경남의 국민의힘 기초단체장은 최대 17명으로 늘어난다.
민주당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인 김해시에서조차 10%p가 넘는 격차로 패하면서 12년 만에 김해시장 자리를 보수정당에게 내줬다. 김해시는 2008년 노 전 대통령이 귀향한 이후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계열 후보가 4차례 연속 당선돼 ‘민주당 성지’라고 불린 지역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태어난 거제시는 새벽까지 이어진 접전 끝에 0.39%p(387표) 차이로 국민의힘이 승리했다.
문 전 대통령 사저가 있는 양산시에서도 민주당은 24.12%p의 큰 격차로 국민의힘에게 패했다. 민주당이 현역 기초단체장으로 있던 창원시, 김해시, 양산시, 거제시, 통영시, 고성군, 남해군 등 7곳 중 남해군만 유일하게 수성했다.

지난해 경남 남해군청에서 코로나19 관련 군민 호소문을 발표하고 있는 장충남 남해군수. 연합뉴스
전·현직 군수 4년 만 ‘리턴매치’... 남해군 숙원사업 안정적 이끈 행정력 평가
이번 남해군수 선거는 4년 만에 치러진 전·현직 군수 간 ‘리턴매치’였다. 장 후보와 박 후보 간 맞대결이었다. 두 후보는 앞서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서도 경쟁한 바 있다. 이때는 박 후보가 현직 군수였고, 장 후보는 도전자 격이었다. 당시 장 후보는 재선 가도가 점쳐지던 박 후보를 46.1% 대 40.1%로 6%p가량 앞서며 승리했다.
이번 지방선거는 올해 20대 대선을 치른 지 100일도 채 안 돼 열린 탓에 ‘민주당 심판론’의 여진이 강하게 남아 있었다. 하지만 장 당선인은 남해군수를 맡으면서 남해군민의 오랜 숙원사업을 안정적으로 이끈 성과로 재선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는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립사업과 국도 3호선 창선~삼동 구간 4차로 확장사업을 비롯해 남해군청 신청사 건립 확정,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 경찰수련원 유치, 관광산업 활성화 등 굵직한 지역 현안 사업을 성사시키며 남해 표심을 끌어 모았다.
장 당선인은 “각 읍면 권역별 발전계획과 해저터널 시대를 대비하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광 남해를 위한 대규모 민자 유치를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남해군은 이제 막 도약의 기로에 섰으며 어렵사리 확보한 대형 국책사업들이 한둘이 아니다. 차근차근 챙겨서 시행착오 없이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