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월평균 최대전력은 전년 같은 달보다 4.5% 증가한 6만 6243MW(메가와트)로 2005년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래 5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진은 2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아파트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7/39dc85f9-f411-4617-83f2-ab5137bc17df.jpg)
2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월평균 최대전력은 전년 같은 달보다 4.5% 증가한 6만 6243MW(메가와트)로 2005년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래 5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진은 2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아파트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 [연합뉴스]
공공요금발(發) 물가 충격이 현실이 됐다. 대통령선거 이후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공공요금 인상이 본격화하면서다. 이전 정부에서 공공요금 인상을 미뤄뒀던 탓에 충격이 더 크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품목 성질별로 소비자물가지수를 따졌을 때 전기·가스·수도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9.6%로 가장 높았다. 서비스(3.5%), 농축수산물(4.2%), 공업제품(8.3%)을 제치고 공공요금이 제일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제유가 영향을 많이 받는 전기요금과 도시가스요금 상승률이 지난달 11%에 달하면서다.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년 만에 최고치인 5.4%로 치솟은 데는 그만큼 공공요금이 많은 영향을 끼쳤다는 의미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대선 직후 공공요금 인상 ‘고삐’가 풀리기 시작했고, 관련 물가지수 상승으로 이어졌다. 지난해와 사뭇 다른 공공요금 움직임은 수치로도 확인된다. KOSIS 통계를 보면 전기·가스·수도 물가 등락률은 지난해 5월 -4.8%에서 지난달 10% 수준으로 튀어 올랐다. 같은 기간 농축수산물은 11.3→4.2%, 공업제품은 2.6→8.3%, 서비스는 1.8→3.5%로 움직인 것과 비교해 진폭이 매우 컸다.
문제는 공공요금 인상이 아직 ‘전초전’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올 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유가가 급등하는 동안에도 공공요금을 억지로 눌러놨던 탓에 한국전력공사 등 관련 공공기관의 적자가 크게 늘었다. 한전은 올 1분기에만 7조8000억원에 이르는, 역대 최대 규모의 영업손실을 봤다. 전기요금을 더는 억누르기 어려운 상황이다. 가스요금도 마찬가지다.
게다가 공공요금은 세금처럼 의무 지출 성격이 커 금리 인상 ‘약발’이 먹히지 않는 분야다. 폭염으로 냉방기 등 전력 소비가 급증하고 요금까지 올라갈 올 3분기(7~9월)가 최대 고비로 꼽힌다. 이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 선을 뚫으며 가계 어려움이 한층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한국은 다른 선진국과 달리 민간보다 공공 부문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 들어 심해진 공공 부문 비대화와 방만 경영의 부작용이 국민에게 전가되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이어 “공공 부문 비용 상승은 수요가 아닌 공급 요인이 강하다”며 “비용 혁신, 가격 절감 등 공공기관 구조조정이 없다면 앞으로 장기화할 물가 문제 해결에 공공 부문이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