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8/63f8a02f-c8db-40c2-852e-cfe93eb798d8.jpg)
[중앙포토]
8일(현지시간) 더타임스는 독일 생명공학업체 바이오엔테크(BioNTech)가 미국 과학자들과 협업해 만든 mRNA(메신저리보핵산) 기반 백신이 최근 임상시험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거웠다고 보도했다.
mRNA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제조에 쓰여 주목받은 첨단 바이오 기술로, 암이나 알츠하이머 등 난치성 질환 신약 개발 등에도 응용되고 있다. 췌장암 백신을 개발하는 바이오엔테크는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mRNA를 이용해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회사다.
연구진은 초기 췌장암 진단환자 16명에게 종양제거 후 각각 8회분의 백신을 정맥주사로 접종했다. 그 결과 8명에게서 면역세포인 T세포(T-cell)가 반응했고, 이들은 이후 관찰 기간 몸에서 암이 발견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했다. 다만 백신에 반응을 보이지 않던 나머지 8명 중 6명은 사망하거나 암이 재발했다.

연구진은 최근 미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이 결과를 발표하며, 백신을 이용해 췌장암 세포를 죽이도록 면역 체계를 훈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도 mRNA 백신을 통해 췌장암 치료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국 췌장암 협회의 크리스 맥도널드 박사는 "현재 췌장암을 치료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수술뿐인데, 비극적이게도 75%는 암이 재발한다"며 "특정 유전자 변화를 바탕으로 개인별 백신을 만들 수 있다면 암이 몸의 자연 면역력을 무력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외즐렘 튀레지 바이오엔테크 공동설립자도 "현존하는 치료법으로는 췌장암 환자의 5%도 치료할 수가 없다"며 "암 백신 연구는 난치 암에 접근하는 새로운 치료 영역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