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모스크바 지역 콘스탄티노보에 위치한 정유공공.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10/9c43100f-a1b6-450d-bc17-768bc61ead79.jpg)
러시아 모스크바 지역 콘스탄티노보에 위치한 정유공공. [로이터=연합뉴스]
FT "유가 상승은 러시아의 횡재"
앞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지난 4일 보스니아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유가가 치솟아, 러시아는 (제재로 인한) 아무런 손실을 입지 않았다”면서 “올해 러시아의 에너지원 수출 실적이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석유는 수요가 있고 대체할 시장도 있다. 이미 판매량이 늘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9일 호치스타인 특사의 청문회 답변은 러시아측의 주장을 사실상 인정한 것이다.
현재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책임을 물어 러시아산 석유와 가스 등 에너지 금수 조치를 시행 중이다. 하지만 이같은 조치는 국제 유가와 가스 가격을 급등시키는 등 부작용으로 이어졌다. 이날 브랜트유 가격은 배럴당 123달러(약 15만5000원)를 넘어서며, 올초 대비 60% 상승했다. FT는 “기록적인 유가 상승은 러시아의 횡재를 의미한다”고 전했다.
IAEA, 러시아 석유수입 연초대비 25조 증가
호치스타인 특사는 최근 인도 당국에 “미국과 유럽이 기록적인 유가를 지불하느라 고통을 겪을 때, 인도가 러시아 석유를 헐값에 사들이는 방식으로 이익을 취하려 하지 말라”고 촉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인도와 같은 제3자의 거래를 막을 수 있는 세컨더리 제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가장 중요한 것은 러시아의 에너지 판매 수익을 줄이는 동시에 미국과 동맹에서 치솟는 연료 가격의 영향을 완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크리스 밴 홀런 민주당 상원의원은 “값싼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늘린 국가는 본질적으로 전쟁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라면서 인도의 태도를 비판했다.

지난해 12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이 인도 뉴델리를 방문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연합뉴스
푸틴 "서방, 결국 러시아 에너지 못끊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9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젊은 기업가들과 만남을 갖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 푸틴 대통령은 서방의 광범위한 경제 제재를 중국·인도 등 다른 교역국과의 협력을 통해 이겨내겠다고도 했다. 그는 “러시아는 개방 경제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소련 시절 소위 ‘철의 장막’을 만들어 스스로를 단절시켰지만, 우리는 같은 실수를 저지르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철의 장막’은 2차 세계대전 후 서방에서 구소련 진영의 폐쇄성을 풍자한 말로, 구소련 붕괴의 한 원인이 됐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