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미군과 아이들 뛰놀던 용산공원 위험하다? 과장된 얘기"

원희룡 국토부장관이 용산공원 시범 개방 첫날인 10일 서울 용산구 용산공원 경청우체통을 체험하고 있다. 뉴스1

원희룡 국토부장관이 용산공원 시범 개방 첫날인 10일 서울 용산구 용산공원 경청우체통을 체험하고 있다. 뉴스1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환경단체와 야당이 제기하는 서울 용산공원의 토양 오염 위험성 의혹에 대해 '과장된 얘기'라고 일축했다.

원 장관은 10일 대통령 집무실 인근의 용산공원 시범 개방 행사에서 "'미군과 그 아이들이 뛰어놀던 이 공간 자체가 위험하다, 우리 발밑에 위험 물질이 쌓여 있다'고 하는 것은 과장된 얘기"라며 "조금이라도 위험 요소가 있거나 투명하게 검증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철저하고 신중한 자세로 접근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가 현재 개방한 공원 부지와 이동 동선은 전혀 위해성이 없다"며 "위해성 관련 부분을 자꾸 혼동시키거나 의도적으로 또는 염려가 지나친 나머지 과장하는 우를 범하지 않아 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시범개방기간 방문객 관람시간을 2시간으로 제한한 것에 대해서도 "위험해서가 아니라 하루에 다섯 번씩 돌리는 것이 최대한의 수용 인원이기 때문"이라며 "안전 문제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용산공원 시범개방을 안전하다는 전제하에 추진해 향후 주한미군과의 정화 비용 청구 협상에서 불리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범위를 제한해서 개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는 완전 개방 후에 미군과 정화 협상을 하게 되는 것과는 다른 문제"라며 "미군과 환경부의 공동 조사와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해 정화 비용을 청구하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한국환경공단은 '환경조사 및 위해성 평가 보고서'를 통해 정부가 최근까지 반환받은 용산기지 부지에서 1지역(지목이 주거·학교·공원·어린이 놀이시설인 곳) 오염 기준치를 크게 웃도는 오염물질들이 검출됐다고 밝힌 바 있다.

현행법상 반환받은 용산기지 부지는 공원 조성에 앞서 확인된 오염물질부터 제거해야 하며 정화작업이 선행되지 않으면 공원 조성이 불가능 한데, 환경단체와 야당 등은 이를 근거로 용산부지 시범개방이 위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