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주택가의 도시가스 계량기의 모습. 연합뉴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가스공사에 따르면 7월부터 민수용(주택용·일반용) 가스요금의 원료비 정산단가가 메가줄(MJ·가스 사용 열량 단위)당 1.90원으로 기존보다 0.67원 인상된다. 도시가스 요금은 발전 원료인 LNG의 수입단가인 '원료비'(기준원료비+정산단가)와 도소매 공급업자의 공급 비용 등을 합한 '도소매 공급비'로 구성된다.
이중 원료비 정산단가는 지난 5월 0원에서 1.23원으로 인상됐고 10월 1.90원에서 2.30원으로 0.40원 더 오를 예정이다. 정산단가를 한꺼번에 올리면 국민 부담이 커 올해 세 차례로 나눠 올리기로 했다.
이는 LNG 수입단가가 올라 원료비가 크게 늘었지만 그동안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가격 인상을 억눌렀다. 이 결과 지난해 말까지 누적된 가스공사 미수금(손실분)이 1조8000억원에 이르렀다.
가스요금은 더 오를 수도 있다. 올 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국제 가스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가스공사의 누적 미수금은 6조원 수준이다. 가스 가격이 큰 폭으로 내리지 않는다면 내년에도 인상이 불가피해 보인다.
지난 4월 인상된 전기요금도 10월 추가 인상이 예정돼 있다. 정부는 올해 전기요금 기준연료비를 4월·10월 두 차례에 걸쳐 kWh당 4.9원씩 총 9.8원 올리기로 했다. 4월엔 기후환경요금도 2원 올렸다.
정부의 결정에 따라 7월 전기요금의 추가 인상 가능성도 있다. 연료비 급등으로 인한 적자가 커짐에 따라 한국전력공사는 16일 3분기 요금 인상안을 정부에 낼 예정이다. 한전은 올해 1분기만 7조786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올해 적자 규모가 약 30조원에 이를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