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1.98%로 한 달 전(1.84%)보다 0.14%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3월 이후 4개월 연속 상승세다. 2019년 1월(1.99%) 이후 3년 4개월 만에 최고치다. 잔액기준 코픽스(1.68%)와 신잔액기준 코픽스(1.31%)도 각각 한 달 전보다 0.1%포인트, 0.09%포인트 올랐다. 신규 취급액 코픽스는 매달 새롭게 조달한 자금을 기준으로 삼아 시장 금리변동이 빠르게 적용되나, 잔액기준 코픽스는 시장 금리 반영이 상대적으로 느리다.
코픽스가 올랐다는 것은 각 은행이 대출을 내주기 위한 재원 조달 비용이 비싸졌다는 의미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ㆍ기업ㆍ농협ㆍSC제일ㆍ한국씨티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 금리다. 예ㆍ적금 상품, 양도성예금증서(CD), 금융채 등이 영향을 미치는데, 그중에서도 예ㆍ적금 금리가 지표 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코픽스가 상승한 데는 지난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5%에서 1.75%로 인상한 영향이 컸다.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각 시중은행이 예ㆍ적금 금리를 올렸고, 은행들의 대출 조달비용도 늘어난 것이다.
코픽스에 영향을 주는 1년 만기 은행채(AAAㆍ무보증) 금리가 오른 영향도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5일 1년 만기 은행채 금리는 연 3.184%로 지난달 16일(연 2.46%)보다 0.724%포인트 올랐다. 연초(연 1.719%)와 비교하면 1.85배 뛰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주담대 금리가 오르면서 대출을 끌어모아 주택을 마련한 ‘영끌족’들의 시름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예컨대 20년만기 연 4% 변동금리형 상품으로 3억원 주담대 받았을 경우, 금리 1%포인트 오르면 상환액은 182만원에서 198만원으로 증가한다. 연간 이자부담으로 따지면 192만원의 이자가 늘어나는 셈이다.
금융권에선 당분간 코픽스 오름세가 이어져 주담대 이자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본다. 하반기엔 주담대 변동금리가 연 6%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하는 의견도 많다.
익명을 요구한 은행권 관계자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의 강도 속도에 맞춰 한국은행도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오는 만큼, 당분간 코픽스 상승세는 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