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를 통해 6일 검찰소환에 이 대표가 불응할 것을 건의했다. 김경록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운데)와 의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 의원총회에서 '윤석열정권의 정치탄압에 대한 성명서'를 발표하며 규탄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경록 기자
민주당이 이날 윤 대통령 고발 등의 근거로 삼은 건 2010년 김 여사와 증권사 담당 직원 사이 통화 녹취록이었다. 최근 ‘뉴스타파’의 녹취록 보도 이후, 민주당은 “주가조작에 관여하지 않았다던 김 여사가 주식 매입에 직접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주장해 왔다. 반면 대통령실은 “이는 그동안 일관되게 밝혀온 대로 ‘일임 매매’를 맡긴 사실을 입증하는 증거”라며 해당 보도에 대해 “날조·허위 보도”라고 반박했다.
김건희 여사 겨눈 野…“‘李 수사는 정치보복’ 여론 키울 것”

민주당은 김건희 여사의 주가조작, 허위경력 의혹에 대해 특검법을 당론으로 추진하기로 5일 결정했다. 사진은 지난 7월 인도네시아 국빈만찬 당시. 대통령실사진기자단
특히 민주당 전략위원회가 최근 돌린 ‘김건희 특검법’에 대한 내부용 여론조사에서 찬성 응답이 60%를 넘은 점도 특검법 추진의 한 근거가 됐다. 원내지도부 인사는 “김 여사 의혹에 대한 국민 공분이 크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특검법에 무게가 확 실렸다”고 말했다. 이 대표가 지난달 31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김건희 특검법’을 추진해 진실을 밝히자. 필요하면 내 의혹에 관한 것도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한 것도 당론 추진에 영향을 줬다는 말이 나온다.
문제는 ‘김건희 특검법’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넘을 수 있을지다. 안건 상정과 의결을 위해서는 국민의힘 소속인 김도읍 법사위원장이 협조해야 하지만 가능성은 희박하다. 민주당은 패스트트랙(신속안건처리 제도) 지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김 위원장이 안건 자체를 상정하지 않으면 지정이 어렵다.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최고위원(오른쪽)이 5일 서울중앙지검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고발장을 제출하기 전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법률위원장, 양부남 법률위원장, 이재휘 민원법률국장, 서 최고위원. 국회사진기자단
민주당이 윤 대통령을 고발한 것 역시 ‘맞불 차원’이란 말이 나온다. 지난 대선 선거법 위반 사건의 공소시효는 9월 9일(대선일부터 6개월)까지로 불과 나흘밖에 남지 않은 데다, 대통령은 헌법상 불소추특권을 가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김승원 민주당 법률위원장은 “윤 대통령이 퇴임하고 난 후에는 (불소추특권으로 정지됐던) 공소시효가 다시 시작된다. 그때 얼마든지 수사할 수 있고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이날 ‘윤석열 정권 정치탄압 대책위원회’를 당 내에 설치하고 문재인 정부 법무부 장관을 지낸 박범계 의원을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민주당 의원 169명 전원은 의원총회에서 “윤석열 정권의 정치 탄압과 민생 외면에 맞서 결연히 싸워나갈 것”이라는 성명서를 낭독하기도 했다.
“포토라인에서 망신만”…6일 李 검찰 출석 만류한 野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 의원총회에서 자료를 확인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이와 관련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페이스북에 “민주당은 이 대표의 정치생명 연장을 위해, 스스로 정치적 인질이 됐다”며 “오히려 범죄자를 공감하고 지지하는 ‘정치적 스톡홀롬 신드롬’에 빠진 것”이라고 비판했다. 성일종 정책위의장도 “민주당이 자당의 대표 하나 보호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법치를 짓밟으려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