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창섭 행정안전부 차관이 7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부위원회 정비방안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정부위원회 6월말 기준 636개
앞서 행안부는 지난 7월 정부 위원회 30% 이상을 줄이는 방안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실제 폐지·통합 대상에 오른 위원회는 39%로 당초 목표를 웃돈다. 정비 대상인 246개 위원회는 대통령 소속이 13개, 총리 소속 21개, 부처 소속 212개로 집계됐다. 정비 유형별로는 폐지 또는 비상설 회의체 등으로 전환이 166개(67%)고, 유사‧중복 위원회 간 통합이 80개(33%)로 나타났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2달간 전수점검으로 결정
위원회 정비 사유로는 타 위원회와 유사·중복(40%·98개)이 가장 많았다. 이어 운영실적 저조(26%·64개), 단순 자문성격(11%), 장기간 미구성(10%), 설치목적 달성과 필요성 감소(10%), 민간위원 참여 저조(3%) 등 순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일부 위원회는 위원을 위촉해 놓고도 실제 회의는 거의 열지 않아 사실상 ‘식물위원회’와 다름없었다”고 말했다.
'식물'위원회 수두룩
기능이 비슷한 해양수산부 내 ‘신항만건설심의위원회’는 ‘중앙항만정책심의회’로 통합된다.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림종자위원회는 농림식품과학기술위원회와 합쳐진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태풍 '힌남노' 피해상황 긴급점검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뉴스1
위원회 정비로 예산절감
위원회 정비를 위해서는 법령 개정이 필요하다. 이에 각 부처가 이날부터 10일간 입법예고에 들어갔다. 행안부는 관계기관 의견조회와 규제심사,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이달 중 국무회의에 일괄 상정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이외에도 새로 만드는 위원회는 5년 이내의 존속 기한을 두도록 행정기관위원회법을 바꿀 방침이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국민통합위원회,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발족했다.
한 차관은 “위원회 운영 상황을 계속해서 점검하고 정기적으로 정비하는 등 유연하고 효율적인 정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