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창립 60주년을 맞는 SK이노베이션은 1962년 대한석유공사에서 출발했다. 1980년 선경(SK의 전신)에 인수된 이후 석유화학, 종합에너지, 바이오, 배터리와 그린에너지까지 섭렵하면서 지난 60년간 변신과 성장을 거듭해왔다. 오늘날 SK를 재계 2위 대그룹으로 만든 토대가 된 SK이노베이션의 혁신성장 10가지 성공비결에 관한 학술 심포지엄이 지난달 30일 기업가정신학회 주최로 열렸다. 오늘날에도 유효한 경영 인사이트를 발굴하는 자리였다. 이날 발표된 내용과 연구결과를 정리해 연재한다. 일곱 번째 혁신성장 스토리는 국내 첫 전기차 배터리 도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대학 이지환 교수의 분석 발표를 토대로 정리했다.
40년 전 점 찍은 배터리 사업
그는 “석유가 지하자원이므로 그 사업 또한 한계가 있고 더욱이 공해 문제가 뒤따르고 있기 때문에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방향을 바꿔야 한다”며 “10년 후에는 회사의 전체 사업 중 정유 사업의 비율이 다른 에너지 사업의 비율에 비해 낮아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장기적 사업 포트폴리오의 하나로 ‘에너지축적 배터리 시스템’을 거론한 게 배터리 사업의 출발점이었다.
최종현 선대회장의 발언 이후 3년 만에 유공은 종합에너지 개발 계획에 착수했다. 울산에 정유업계 최초로 기술지원연구소를 설립하고 새로운 에너지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지금의 대덕 기술혁신연구원의 전신이다. 이후 유공은 1991년 12월 23일 울산 석유연구실에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3륜 전기차를 제작, 성능 실험에 성공했다. 현대차가 국내 첫 4륜 전기차를 개발한 게 그해 11월이었다. 자동차기업이 아닌 회사로는 이례적인 도전이었다.
범세계적·국가주도 과제로 연결
정유·화학으로 축적한 기술 응용

SK이노베이션 직원이 전기차 배터리를 들고 있는 모습. 사진 SK이노베이션
수십년간 축적해온 석유·화학기술을 새로운 분야에 응용한 덕에 속도를 앞당길 수 있었다. SK이노베이션은 2004년 말 세계 세 번째로 고용량 리튬이온 전지 분리막(LiBS·Lithium ion Battery Separator) 독자기술 개발에 성공한다. LiBS는 리튬전지의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막고 전지의 성능과 안전성을 부여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소재다.
2004년 미래형 자동차 개발 국책과제에 주관기관으로 참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의 핵심부품인 중대형 배터리 시스템 개발을 2년만에 완성했다. 또한 미국 전기차 개발 컨소시엄(USABC) 기술평가 프로그램 등 글로벌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존재감을 키워나갔다.
정공법으로 뚫은 다임러 그룹
2009년 7월 다임러 그룹 산하 미쓰비시후소(Mitsubishi Fuso)의 하이브리드 트럭에 장착될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업체 선정을 위한 워크숍이 일본에서 열렸다. SK이노베이션은 미쓰비시후소의 요구사항을 빠르게 반영하며 신뢰를 쌓아 나가며 해외 첫 배터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2010년 현대·기아 자동차의 ‘블루온’과 ‘레이’에 이어 2011년 다임러 그룹 메르세데스-벤츠의 최고급 사양 전기 스포츠카의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국내외 배터리 수주는 계속됐다. 2014년엔 기아자동차의 전기차 ‘쏘울 EV’ 출시하고, 베이징 APEC 공식 행사 차량에 배터리를 탑재했다. 2016년엔 다임러 그룹 산하 메르세데스-벤츠 주력 전기차 프로젝트를 따냈다. 급증하는 글로벌 전기차 수요에 발맞춰 SK는 현재 미국, 중국, 헝가리 등에 생산 거점을 확대하고 있다.
신사업 키운 리더의 의지

서산 배터리 공장 둘러보는 최태원 SK 회장. 사진 연합뉴스
배터리 사업에 대한 의지는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SK온 대표이사)도 못지않았다. 2012년 초 SK이노베이션 배터리사업팀장에게 “차에 연료를 채우는 것이 아니고 집이나 사무실에서 자동차를 충전하는 시스템에 리딩 역할을 해내자”라며 “저는 이미 그렇게 마음을 먹었고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직접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대학 이지환 교수 인터뷰

카이스트 경영대학 이지환 교수.
이번 연구에 참여한 소감은요.
석유회사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 진출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지.
SK와 LG 배터리 소송은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을까요?
SK의 배터리 산업에 대해 전망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