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유상범 문자사고에…"8월13일 이준석 기막혀서 대화"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당 윤리위원인 유상범 의원과 이준석 전 대표의 징계를 논의한 것처럼 보이는 휴대전화 대화 내용이 노출됐다. 이 전 대표 측이 강력 반발하고 비판 여론이 커지면서 유 의원은 국민의힘 윤리위원직을 사퇴했다. 

19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정 위원장이 유 의원과 문자메시지를 주고받는 휴대전화 화면이 국회 사진기자단에게 촬영돼 보도됐다. 정 위원장이 “중징계 중 해당 행위 경고해야지요”라고 메시지를 보내자, 유 의원이 “성 상납 부분 기소가 되면 함께 올려 제명해야죠”라고 답장을 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 전 대표의 추가 징계에 대해 언급한 것이다. 화면에선 정 위원장이 유 의원에게 “오늘 오찬 함께 합(시다)”라고 쓰는 모습도 포착됐다.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의원총회에서 촬영된 정진석 비대위원장의 휴대전화 화면에 정 비대위원장이 유상범 의원과 주고받은 문자가 보인다. 정 비대위원장의 "중징계중 해당행위 경고해야지요" 메시지에 유상범 의원이 "성상납 부분 기소가 되면 함께 올려 제명해야죠"라고 답했다. 정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후 문자 내용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지난달 8월 13일 제가 유상범 의원에게 보낸 문자"라며 "저는 비대위원장이 아니었고 평의원이었다"라고 밝혔다. 국회사진기자단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의원총회에서 촬영된 정진석 비대위원장의 휴대전화 화면에 정 비대위원장이 유상범 의원과 주고받은 문자가 보인다. 정 비대위원장의 "중징계중 해당행위 경고해야지요" 메시지에 유상범 의원이 "성상납 부분 기소가 되면 함께 올려 제명해야죠"라고 답했다. 정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후 문자 내용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지난달 8월 13일 제가 유상범 의원에게 보낸 문자"라며 "저는 비대위원장이 아니었고 평의원이었다"라고 밝혔다. 국회사진기자단

 
앞서 정 위원장은 이날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윤리위는 전적으로 이양희 위원장 마음이고 윤리위원들이 하는 일”이라며 “일절 소통할 것도 아니고 그래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런데 휴대전화 대화 내용은 윤리위 결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비칠 수도 있는 내용이었다. 특히 유 의원은 당 윤리위원회 위원인데 징계를 다른 의원과 논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나왔다.

이 전 대표는 관련 보도가 나오자 “윤리위원과 비대위원장이 경찰수사 결과를 예측하며 징계를 상의하고 지시를 내리는군요”라고 페이스북에 썼다. 이 전 대표는 “무리한 짓을 많이 하니까 이렇게 자꾸 사진에 찍히는 것”이라며 “한 100번 잘못 하면 한 번 정도찍힐 텐데”라고 썼다. 이 전 대표 측은 ‘(윤리위는) 직무와 관련해 알게 된 일체의 비밀을 누설하면 안 된다’는 윤리위 3조2항의 ‘비밀유지’ 규정을 들어 “당장 윤리위 해임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또 “현직 비대위원장과 윤리위원이 오찬하는 것도 문제”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자신의 기사를 살펴보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자신의 기사를 살펴보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파장이 커지자 정 위원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휴대폰에 뜬 제 문자는 지난달 13일 제가 유상범 의원에게 보낸 문자”라고 해명했다. 비대위원장을 맡기 전 평의원 때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라는 것이다. 정 위원장은 지난 7일 비대위원장이 됐다. 그는 “그날(지난달 13일) 이 전 대표가 기자회견을 자청해서, 어마어마하게 우리 당을 공격했다. 그 기자회견을 보고 하도 기가 막혀서 우리 당 윤리위원인 유 의원에게 ‘중징계 중 해당 행위 경고해야지요’라고 문자를 보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전 대표는 어떻게든 비대위와 윤리위를 엮고 싶은 모양이지만, 저는 윤리위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도 “(문자를 주고받은 지난달 13일은) 당 윤리위원회가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 여부를 결정하기 전으로, 윤리위원회 전체의 의견과는 전혀 무방하며 사전에 상의 된 내용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다만 “윤리위원으로서 개인적 의견을 다른 의원에게 표한 것 자체는 부적절했다. 당원과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사과 뒤에도 비판 여론이 비등하자 유 의원은 결국 윤리위원직을 사퇴했다. 그는 페이스북에 “이번 불찰로 인해 당 윤리위원회의 공정성·객관성이 조금이라도 의심받아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본의 아니게 심려 끼쳐드린 점 거듭 사과드린다”고 적었다. 사퇴에 앞서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8월 13일 유상범 윤리위원이 이준석 당원 징계에 대한 개인적 의견을 당내 인사와 나눴고 이러한 사실이 외부로 공개된 것은 본인의 의도와 상관없이 결론적으로 향후 중앙윤리위원회 직무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상식적인 판단”이라고 밝혔다고 윤리위는 입장문을 통해 밝혔다. 이에 따라 유 의원은 윤리위원직 사임을 신청했고, 이 위원장이 이를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한편 이 전 대표 변호인단은 전날 당 윤리위가 이 전 대표 징계절차 개시 결정을 내린 데 대해 이날 입장문을 내고 “가처분에 영향을 미치려는 사법방해행위이고, 가처분에서 잇달아 패소하자 자행한 재판보복행위”라고 밝혔다. 이 전 대표의 ‘개고기’, ‘양두구육’ 발언에 대해선 “은유적 표현은 정치적 표현의 자유로서 절대적으로 보장돼야 한다”며 표현의 자유를 규정한 유엔(UN) 인권선언 19조 등을 언급했다. 또 “1979년 김영삼 민주당 총재의 뉴욕타임스와 인터뷰를 문제삼아 국회의원직을 ‘제명’하자 부마사태, 10·26 사태가 발발했음을 상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명’이 대통령 암살 사건 발발의 원인이 됐다고 한 것이다. 

변호인단은 “(당 윤리위의) 추가 중징계 처분에 대해 가처분뿐만 아니라 유엔(UN) 제소 등 모든 법적 수단을 취할 것이며, 국민의힘의 야만적인 헌법파괴공작을 단호히 분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