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통령 연봉은 2억4400만원으로 9급 공무원보다 약 9.5배 더 받는다고 한다.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9/21/a2aa7498-7b29-48d8-80bc-a22aef0536fa.jpg)
올해 대통령 연봉은 2억4400만원으로 9급 공무원보다 약 9.5배 더 받는다고 한다. [중앙포토]
20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올해 대통령 연봉은 2억4400만원이다. 9급 공무원 1호봉 연봉 2580만원(본봉 외 직급보조비·정액급식비·명절휴가비 포함)과 비교하면 9.5배 정도 많다. 다만 이는 수당이나 특수활동비 등 차이가 있거나 공개하지 않는 비용을 빼고 순수 급여만 놓고 비교한 액수다.
차관 이상 억대 연봉…직급·장소·업무별 월급 천차만별

다양한 공무원의 수당 제도. 그래픽 박경민 기자
또 주요 처장급(인사혁신처·법제처·식약처)·본부장급(통상교섭본부장·과학기술혁신본부장) 공무원(1억3740만원), 차관급 공무원(1억3539만원)도 억대 연봉자다.
1~5급은 호봉에 따라 월급이 달라진다. 인사혁신처가 해마다 공개하는 공무원 봉급표(월 지급액)에 따르면 수당을 제외한 연봉은 ▶1급 5027만~8640만원 ▶2급 4562만~7945만원 ▶3급 4083만~7325만원 ▶4급 3500만~6542만원 ▶5급 3128만~6066만원 등이다.
다만 성과연봉제를 적용하고 있어 실제 연봉과 봉급표에 나온 금액 사이에는 괴리가 있다. 안석환 인사혁신처 성과급여과 사무관은 “공무원은 주로 5·7·8·9급으로 구분해 채용하기 때문에, 4급 이상은 평균적인 보수를 추산하기 어렵다”며 “성과가 좋으면 보수가 증가하고 성과가 나쁘면 보수가 오르지 않는 게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6급 이하는 호봉제 적용
동일한 기준으로 보면 ▶7급은 3167만~6015만원 ▶8급 2782만~5446만원 ▶9급 2659만~5000만원에서 연봉이 결정된다. 초과·야간근무수당, 가족수당 등 개인별로 각기 다른 수당은 제외한 금액이다.
다만 복잡한 수당 제도 때문에 직급·장소·업무 형태별로 개개인이 받는 급여는 천차만별이다. 경찰 등 공안직이나 소방공무원·교원공무원·군인·헌법연구관 등은 기초 봉급표 자체가 조금씩 다르고 수당 항목도 제각각이다.
![소방직 공무원은 야간수당과 휴일수당, 위험수당이 월급에 붙는다. 소방관들이 오전 제주시 이도동 구 한진그룹 칼(KAL)호텔에서 화재 진압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제주소방서]〉](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9/21/57be239a-1d77-43f9-8afa-5172565f5389.jpg)
소방직 공무원은 야간수당과 휴일수당, 위험수당이 월급에 붙는다. 소방관들이 오전 제주시 이도동 구 한진그룹 칼(KAL)호텔에서 화재 진압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 제주소방서]〉
서병철 공무원관리공단 가입자관리실 차장은 “보수액을 계급별로 적용했던 과거와 달리, 공무원 업무가 갈수록 세분화하면서 공무원 110만명의 기준소득도 천차만별”이라며 “매월 봉급액을 비교하는 게 무의미해졌기 때문에 2010년부터 관련 통계를 공단이 관리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김선택 한국납세자연맹 회장은 “연봉 인상률이나 연금 수준 조정 등을 판단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정부가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