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이 지난 20일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최근 신당역 스토킹 사건과 관련해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이 해결책으로 “여성 직원들의 당직을 줄이겠다”고 언급한 데에 대해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21일 “명백한 차별”이라고 반발했다.
노조는 이날 성명을 내고 “여성의 직무 수행 능력을 제한해 특정 업무에서 제외하는 것이 명백한 차별이고, 오히려 불이익 조치에 해당한다”며 “누군가 할 수 없는 업무를 늘리는 것이 아닌, 누구나 안전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김 사장의 발언이 여성을 배제하는 논리인 이른바 ‘펜스룰’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펜스룰은 2002년 마이크 펜스 당시 연방 하원의원이 더힐과의 인터뷰에서 “아내 이외의 여성과는 단둘이 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말한 것을 두고 만들어진 신조어다. 당초 성 관련 논란을 원천차단하려면 여성을 일상·업무관계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논리다. 문제 원인을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에게 돌린다는 점에서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노조는 또 2인 1조 순찰 근무가 가능할 인력 충원이 시급한 안전 대책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시는 2인 1조 순찰이 가능하게 하려면 최소 600명이 필요하지만, 공사의 적자 때문에 증원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반면 노조는 2인 근무반이 410여개이기 때문에 410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서울시가 실질적인 사용자의 책임을 회피하고 공사 뒤로 숨는 태도”라며 “중도퇴직, 장기결원, 공로연수로 인력을 신규채용하고 비대해진 본사·지원부서의 인력을 역무 현업으로 재배치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김 사장은 지난 20일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 전체회의 업무보고를 통해 “문제 개선을 통해 안전 확보에 최대한 노력하겠다”면서 “앞으로 여성 직원에 대한 당직을 줄이고, 현장 순찰이 아닌 CCTV를 이용한 가상순찰 개념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 발언을 두고 일각에선 당직 때문에 스토킹을 당하는 게 아니라며 해법이 잘못됐다는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