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유승관 기자 = 윤재옥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022 국정감사 계획서 채택의 건을 상정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9.16/뉴스1
22일 국회 각 상임위원회는 의원실별 국감 증인 신청 명단을 취합했거나, 취합을 마치고 어떤 증인을 최종 채택할지 여야 협상을 시작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지난 2일 “이번 국감에서 CEO(최고경영자)는 가급적 부르지 말자”며 국감 문화의 변화를 요청하기도 했는데, 올해도 어김없이 신청 명단엔 다수의 기업인이 올랐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선 더불어민주당이 플랫폼 기업 대표들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민주당은 ‘온플법’(온라인 플랫폼 중개 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안)을 민생법안으로 선정하고, 정기국회에서 제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플랫폼 기업의 문제 등을 국감에서 따져 묻겠다는 계획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 남궁훈·홍은택 카카오 대표, 강한승·박대준 쿠팡 대표, 김봉진·김범준 우아한형제들 대표 등이 국감 증인 신청 명단에 올라 있다. 해외 기업 중엔 구글과 넷플릭스 등의 한국 대표가 증인으로 신청됐다. 과방위의 단골 국감 증인인 통신 3사(SKT·KT·LGU+) 대표도 신청됐다.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가 지난해 10월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해 앉아 있다. 뉴스1
그 외 기업인을 자주 부르는 상임위 중 하나인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여야가 총 160여명의 증인을 신청했다. 산자위 관계자는 “증인 신청 명단에 4대 그룹(삼성전자, SK, 현대자동차, LG) 총수도 들어 있다”고 말했다. 산자위는 신청 증인이 너무 많아 오는 26일까지 여야 각각 20명으로 증인 명단을 추려 다시 협상을 진행하기로 했다.

박대준 쿠팡 대표가 지난해 10월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1.10.21/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