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4일 스리랑카 수도 콜롬보에서 시위자가 반정부 구호를 외치고 있다. 항만 건설 등을 위해 중국에 막대한 빚을 진 스리랑카는 강달러로 물가가 치솟으며 경제난에 빠졌다. AFP=연합뉴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중국이 저소득 개발도상국에 제공한 차관 규모는 2010년 말 400억 달러에서 2020년 말 1700억 달러로 급증했다.

GDP 대비 중국 부채 비중 높은 국가
지부티와 앙골라의 경우 2020년 기준 중국 관련 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40%를 넘어섰다. 몰디브·라오스도 GDP의 30% 이상이 중국에 진 빚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2010년 5%에 불과했던 중국의 해외 부실 대출 비율은 올해 들어 60% 수준으로 급증했다. 미 경제지 포브스는 “중국 자금으로 벌인 인프라 사업은 감당할 수 없는 채무와 잉여 시설만 남긴 채 개발도상국을 부도 위기로 내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대란, 인플레이션의 충격에 허우적대던 개발도상국들로선 연타 펀치를 맞은 격이다. 뉴욕타임스(NYT)는 “세계 시장에선 부채뿐 아니라 에너지·식량 모두 달러로 거래되기에 강달러는 개발도상국들에 더 큰 고통을 준다”며 “강달러는 이들 국가에 고물가와 자본 유출 사태까지 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위기를 인식한 중국은 부채 탕감 협상에 나섰다. WSJ은 “중국이 디폴트를 선언한 스리랑카는 물론 아프리카 국가인 차드·에티오피아·잠비아 등과 부채 탕감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주요 20개국(G20) 중심의 개도국 채무 구조조정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등 국제사회와의 공조도 모색 중이다.
NYT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임무는 미국 경제를 돌보는 것이지만,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Fed의 결정이 미국을 빼곤 모두 국가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며 “자신들의 결정이 세계에 미치는 영향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