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해리스 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한국 측의 우려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며 “법률 집행과정에서 한국 측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잘 챙겨보겠다”고 답변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해리스 부통령과 85분간 접견하고 한·미 관계 강화 방안을 비롯해 북한문제, 경제안보, 주요지역 및 국제현안 등 상호 관심사에 관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이재명 부대변인이 오후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해리스 부통령의 언급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기자들에게 “한국 측 우려를 잘 알고 있다는 데서 한걸음 더 나아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과의 사전환담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
윤 대통령은 해리스 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방한한 데 대해 환영의 뜻을 표했고, 지난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공식 방한 이후 약 4개월 만에 해리스가 방한한 것은 강력한 한·미 동맹에 대한 양국의 굳건한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주 런던과 뉴욕을 포함해 바이든 대통령과 여러차례 만나 한·미 동맹의 발전방향에 대해 긴밀히 합의했다”며 “해리스 부통령의 방한이 한·미 동맹 발전을 위한 또 다른 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에 해리스 부통령은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핵심축으로서 한·미동맹이 더욱 발전해나가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나아가 한·미 정상간 뉴욕 회동과 관련한 한국 내 논란에 대해서는 “미국 측은 전혀 개의치 않고 있다”며 “바이든 대통령은 윤 대통령에 대해 깊은 신뢰를 가지고 있으며 지난주 런던, 뉴욕에서 이루어진 윤 대통령과의 만남에 대해 만족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핵무력 정책 법제화에 대해 해리스 부통령은 윤 대통령과 함께 우려를 표시하고 미국의 철통 같은 방위 공약도 공유했다.
이 부대변인은 “양측은 확장 억제를 비롯해 연합 방위 태세 강화를 위해 양국이 긴밀히 협의하는 데 대해 높이 평가했다”며 “북한의 7차 핵실험 시 한·미가 공동으로 마련한 대응 조치를 긴밀한 공조 하에 즉각 이행하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또 해리스 부통령은 필요 시 금융 안정을 위한 유동성 공급장치를 실행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한 한·미 정상 간 합의 사항도 재확인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부와 한국은행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미국과 유동성 공급장치의 발동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며 “시장 상황에 따라 가동할 수 있도록 한국은행과 미 연준 간에 적극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해리스 부통령에게 “미국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장으로 우주 개발을 주도하는 것을 높이 평가한다”며 “한·미 간 우주 분야 협력을 강화할 여지가 클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부대변인은 “윤 대통령이 소수 인사만 배석한 가운데 해리스 부통령과 사전 환담을 가졌으며, 이를 통해 돈독한 개인적 유대감과 신뢰를 구축했다”고 전했다.
이밖에 두 사람은 내년 한·미 동맹 70주년을 계기로 윤 대통령의 미국 방문 계획에 대한 세부 내용을 외교 채널을 통해 협의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