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지방 공공요금까지 줄줄이 오르면서 서민의 ‘물가 고통’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1일 기획재정부와 주요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대부분 시도는 택시ㆍ지하철ㆍ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이미 결정했거나 검토 중이다.
서울은 올해 택시 기본요금을 다음 달 1일 오전 4시부터 3800원에서 4800원으로 인상한다. 지하철과 시내버스ㆍ마을버스 요금도 이르면 4월부터 300원씩 올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인구가 가장 많은 경기도는 올해 택시요금을 인상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인상 폭은 현재 진행 중인 원가 산정 용역 결과에 따라 결정할 예정인데, 인상 폭은 서울에 준하는 수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인천은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요금 인상을 검토 중이다. 아직 인상 여부와 인상 폭은 결정하지 않았다. 경남ㆍ울산도 인상 요인이 많아 버스요금을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상하수도 요금, 쓰레기 종량제 봉툿값 등의 인상 압박이 크다. 서울은 1월부터 가정용을 비롯한 상수도 요금을 올릴 계획이고 인천ㆍ울산ㆍ대전ㆍ세종 등도 상수도나 하수도 요금 인상이 예정돼있다. 경기ㆍ전남ㆍ강원은 도내 쓰레기 종량제 봉투 가격을 인상한다.
올해 1분기부터 전기ㆍ가스요금이 크게 오르면서 당분간 5% 안팎의 고물가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동안 안정된 듯하던 농축수산물 가격도 예년보다 이른 설 명절 등을 고려하면 다시 들썩일 것으로 우려된다. 여기에 대중교통 요금, 상하수도로 등 공과금, 식품ㆍ외식비 등 생활 밀접 품목이 줄줄이 오르면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 상황은 더욱 악화할 수밖에 없다.
한편 지난해 소비자물가 구성 품목 가운데 458개 중 가격이 오른 품목은 395개로 86.2%에 달했다. 10개 중 9개꼴로 상승한 것으로, 지난해 물가 상승세가 전방위적으로 확산했다는 의미다. 품목별로 보면 '서민연료'로 불리는 등유가 한 해 동안 56.2%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무(38.6%), 식용유(35.8%), 배추(35.7%), 경유(31.9%) 등도 크게 뛰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1%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7.5%)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계의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높은 항목을 중심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6.0% 올라, 상승률이 더 높았다. 다만 국제적으로 보면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미국ㆍ유로존 등 주요 국가보다 낮다.
세종=정진호 기자 jeong.jinh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