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참석한 황준국 한국 주유엔대사. AFP=연합뉴스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이번에도 북한의 도발은 한미연합훈련 등에 대한 정당한 대응이라는 입장을 반복하며 서방과 대립각을 세웠다.

20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AFP=연합뉴스
이 자리에는 황준국 주유엔 대사도 이해당사국 자격으로 참석해 북한 측의 주장을 반박하고 안보리의 대북 책임 추궁을 촉구했다.황 대사는 “북한의 계속되는 탄도미사일 발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며 “북한의 적대 정책과 안보리 기능 위협, 유엔 자체에 대한 뻔뻔한 조롱은 중단돼야 한다”고 말했다.
미츠코 시노 일본 차석대사도 “모든 나라가 핵 비확산에 동참하고 북한에 (제재) 구멍을 제공하지 말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을 옹호하는 기존 태도를 바꾸지 않았다.
겅솽 주유엔 중국 부대사는 “미국과 그 동맹들이 전례없는 대규모 연합 군사훈련을 벌인 것이 북한에 불안함을 갖게 한 것”이라며 미국 등에 자제와 신중한 대응을 요구했다. 안나 에브스티그니바 러시아 차석대사도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 및 안전을 위험하게 만드는 어떠한 군사활동에도 반대한다”고 책임을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