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교육출판 5학년 사회교과서의 내용. 2019년에 ″육지 뿐 아니라 바다도 고려하면 영토의 범위는 어떻게 될까?″라는 질문이 2023년에는 ″불법으로 점거 당한 영토를 어떻게 하면 되돌려 받을 수 있을까?″라고 바뀌었다.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불법으로 점거 당한 영토는 어떻게 하면 되돌려 받을 수 있을까?”
앞으로 일본 초등학교 5학년이 배울 사회교과서의 내용이다. 2019년 검정 교과서에 없던 내용이지만 올해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새롭게 추가됐다. 교과서 속 학생이 묻는 질문 위에는 독도 사진이 배치됐다. 박한민 독도연구소 연구위원은 “한국으로부터 불법 점거 당한 독도를 어떻게 돌려받을 수 있을지 학생들끼리 토론해보라는 취지로 보인다”며 “일본의 역사왜곡이 더 노골적으로 강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교과서, 강제징병·임진왜란 서술도 바꿨다

29일 동북아역사재단에서 2023년도 일본 초등학교 검정교과서 분석 전문가 세미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동북아역사재단 분석에 따르면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점유율 1위인 도쿄서적은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의 병사로서 징병됐다”는 표현을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 병사로 참여하게 되었고, 후일 징병제가 시행됐다”로 바꿨다. 일본군이 된 조선인이 강제로 끌려온 게 아니라 자발적으로 참여했다는 인식을 줄 수 있는 내용으로 바뀐 것이다.
임진왜란에 대한 서술에서도 조선의 피해는 의도적으로 삭제됐다. 문교출판은 “히데요시가 조선에 병력을 보낸 결과 조선의 국토가 황폐해지고, 많은 조선인들이 희생됐다”는 기존 내용을 삭제하고 “조선에서의 전쟁은 유리하게 진행되지 않아서 커다란 피해가 나올 뿐이었다”는 내용을 추가했다. 위가야 연구위원은 “조선이 피해를 봤다는 서술을 빼버리면서 피해를 입은 것이 조선인지 일본인지 모호해졌다”며 “일본 학생들은 오히려 전쟁을 일으킨 일본이 더 큰 피해를 받았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 외에도 고대에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가 선진 기술과 문물을 전파한 ‘도래인’에 대한 표현을 일부 삭제해 한국이 일본에 끼친 영향력을 고의로 축소하거나 독도를 ‘일본의 영토’라고 표현했다가 ‘일본 고유의 영토’로 수정한 교과서도 있었다.
한일우호 강조는 주목해야…“의도 따져봐야” 반론도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위가야 연구위원은 “굳이 한일우호 내용을 추가한 것을 보면 교과서 필진들이 한일관계에서 무엇을 강조하고 싶어 하는지가 드러난다”고 말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오히려 가해자가 ‘사이좋게 지내자’, ‘화해하자’라는 말을 먼저 꺼내는 것처럼 숨겨진 의도를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는 반론을 제기하는 토론자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