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셔터스톡
이처럼 당국에 제대로 ‘찍힌’ 디디추싱이 자율주행 로보 택시와 함께 돌아온다는 소식에 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그러나 동종 업계는 디디의 복귀 소식이 두렵다. 특히 두려움에 떨고 있는 곳은 T3추싱(T3出行)이다.

사진 T3추싱(T3出行)
최근 발표된 정보에 따르면 T3추싱의 플랫폼 등록 사용자는 2억 명을 넘겼다. 등록된 기사 수는 약 60만 명, 하루 주문은 300만 건을 돌파하며 중국 왕위에처 업계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했다.
T3추싱이 단기간에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 든든한 투자다. T3은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기업이다. 2019년 3월, 난징영행 과학기술 주식회사가 만들고 중국 이치그룹(一汽集團), 둥펑자동차(東風汽車), 충칭창안자동차(長安汽車), 알리바바, 텐센트 등이 공동으로 투자했다.
거물급 기업의 투자로 빠른 속도로 몸집을 불려 나갔다. 자동차 거물들의 기술 및 제품 자원 강점을 집약하고, IT 거물의 클라우드 서비스, 트래픽, 지도, 결제 플랫폼 등의 지원까지 더해지면서 인터넷 예약 차량업계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기술혁신 차원에서 T3추싱은 커넥티드카 기술을 기반으로 V.D.R(Vehicle-Driver-Road) 보안 시스템을 자체 개발했다. 차량-운전자-도로의 세 요소를 통합한 시스템으로, 도로 전역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운전자 및 차량의 실시간 안전 관리, 주행 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등을 통해 탑승자 쌍방의 이동안전을 보장하여 자동차 공유 서비스 업계의 보안 난제를 해결했다. 또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60초마다 기사의 얼굴을 스캔하여, 지정된 기사가 아니면 운전을 할 수 없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사진 T3추싱(T3出行)
■콰이샹(快享): 차종을 통일하고 V.D.R(Vehicle-Driver-Road) 보안 시스템을 장착.
■좐샹(专享):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기술 혁신을 통해 끊임없이 제품의 강점을 강화, 더 나은 이동 경험 창출.
■준샹(尊享): 차별화된 제품 강점으로 고객에게 더욱 전문적이고 프리미엄화된 서비스를 제공
■후이샹(惠享): 컴플라이언스를 준수하여 사용자가 일반 택시를 탈 때보다 경제적인 서비스 제공.
■신향택시(新享出租): 투어택시+ 커넥티드카 융합을 중심으로 "개방" + "혁신"을 견지.
■자율주행: 대용량 데이터 탑재, 실제 도로 주행, 스마트 스케줄링, 자율주행 운영 플랫폼 조성.
■좐샹(专享):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기술 혁신을 통해 끊임없이 제품의 강점을 강화, 더 나은 이동 경험 창출.
■준샹(尊享): 차별화된 제품 강점으로 고객에게 더욱 전문적이고 프리미엄화된 서비스를 제공
■후이샹(惠享): 컴플라이언스를 준수하여 사용자가 일반 택시를 탈 때보다 경제적인 서비스 제공.
■신향택시(新享出租): 투어택시+ 커넥티드카 융합을 중심으로 "개방" + "혁신"을 견지.
■자율주행: 대용량 데이터 탑재, 실제 도로 주행, 스마트 스케줄링, 자율주행 운영 플랫폼 조성.
또 최근 T3추싱이 기업공개(IPO)를 추진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후룬연구원이 발표한 ‘2023 글로벌 유니콘’에 T3추싱은 597위에 안착, 기업 가치는 130억 위안(약 2조 4276억 원)으로 평가됐다.
왕의 귀환에 조바심… 상장은 언제?
‘플랫폼 준수율’은 운전자와 차량 모두 허가를 받은 수량이다. T3추싱이 운용하는 차량은 모두 자체 플랫폼에서 제공한다. 운전자는 엄격하게 선별하고 교육해 불법 운전자의 가입을 피할 수 있다. 디디추싱은 보다 낮은 8위를 기록하며 플랫폼 준수율 방면에서 T3추싱은 강력한 면모를 보였다.

사진 디이차이징(第一財經)
2022년 1월 T3추싱의 시장점유율은 반년 만에 3.1%에서 11.6%로 급격히 상승했다. 중국국제금융공사(CICC) 리서치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디디추싱의 2022년 1월 시장점유율은 상장폐지 1년 만에 82%에서 74%로 떨어졌다. T3추싱의 시장 점유율이 반년 만에 8.5%p 증가한 이유다.
그러나 디디추싱은 신규 사용자 등록 재개를 발표하며 주요 앱 스토어에 다시금 등장했다. CICC에 따르면 2022년 하반기 이후 디디의 점유율은 74% 안팎에서 안정세를 유지 중이다. 리오프닝한 디디의 주문량은 동시에 증가했으며 한때 점유율은 76%까지 증가했다.
중국의 왕위에처 산업은 갈수록 호황이다. 중국 교통부에 따르면 2023년 1분기 전국 인터넷 예약 택시 주문 건수는 전년 대비 9.7~14.1% 증가하며 회복세가 안정됐다. 지난 4월 일일 주문량은 2310만 건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동시에 여행 시장 환경도 점차 안정되고 있어 시장 경쟁은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인터넷정보센터(CNNIC)에 따르면 2022년 12월 중국의 왕위에처 사용자 수는 4억 3700만 명에 달해 전체 인터넷 사용자의 40.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디디에 더이상의 점유율을 빼앗길 수 없는 T3. 이에 T3추싱은 새로운 목표를 내세웠다. 바로 ‘1521 전략’이다.

2023년 4월 21일, T3 추싱 2023 미디어 컨퍼런스가 열렸다. 사진 T3추싱(T3出行)
T3추싱은 시리즈 A 투자 자금 조달 이후 자율주행 등의 투자를 확대하여 자율주행 상용화를 전담하여 운영할 자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특히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초점을 맞춰 스마트 모빌리티 특장점을 모색하고, 스마트카, 그린 모빌리티, 저탄소 신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융합의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중국 자율주행 시대의 핵심 운영자가 되는 것이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차량 공유 서비스 집중하여 안정적인 운행력 확보 및 다양한 서비스 경험을 제공했다면, 2021년부터 2025년까지 파생상품 사업 확대 및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2025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스마트 모빌리티의 리더이자 스마트 시티의 리더가 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자율주행 상용화로 가는 길목에서 현재 어떤 모빌리티 플랫폼도 뚜렷한 강점을 보이지 않고 있기에 T3추싱은 본인의 강점을 통해 1위 업계와의 격차를 좁힐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공유 서비스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낸 T3추싱이 과연 자율 주행, 신에너지 자동차와 같은 차세대 자동차 기술 개발 부문에서 한층 더 성장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김은수 차이나랩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