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부장 조선중앙통신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
김 부부장은 4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안보리가 미국이 하자는 대로 걸핏하면 북한의 주권적 권리 행사를 문제시하는 데 대해 대단히 불쾌하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북한은 지난달 31일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탑재한 발사체 ‘천리마-1형’ 발사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북한의 위성 발사 또한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안보리 결의 위반에 해당한다. 이에 안보리는 지난 2일(현지시간) 공개회의를 소집해 관련 대응 문제를 논의했다.
그러나 김 부부장은 이번 안보리 회의 소집에 대해 “가장 불공정하고 편견적이며 내정간섭적인 주권침해행위로 강력히 규탄 배격한다”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우린 언제 한 번 (안보리의) 불법적인 제재 결의들을 인정해본 적이 없으며 앞으로 백번 천번 가한다고 해도 이런 입장은 절대 불변”이라고 했다. 북한은 핵·미사일 개발에 따른 안보리의 제재 결의를 ‘대북 적대시 정책’의 하나로 간주한다.
김 부부장은 추후에도 정찰위성 발사 등을 지속할 것이라며 “미국과 그 추종 세력들이 지루함을 느낄 때까지, 자기들의 선택이 잘못됐음을 자인할 때까지 시종일관 강력 대응할 것이며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을 멈춤 없이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정찰위성 재발사 시도를 예고해놓은 상황이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연합뉴스
이어 “안보리가 지금과 같은 불공정하고 편견적인 대조선(대북) 행태를 계속 고집하는 경우 그로부터 초래될 심각한 정세 불안정을 만회할 능력이 있는지, 지역 국가들의 안전을 담보할 방도가 있는지에 대해 책임적인 대답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미국과 함께 북한의 위성 발사를 문제 삼은 나라를 향해 “미국의 말을 무작정 따르는 게 자기들에게 유익하다고 생각했다면 난 그들에게 이 세상엔 미국 편에 서지 않고도 자기의 국위를 빛내고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방도가 얼마든 있으며 실지로 그런 자주적 나라들도 적지 않다는 사실에 대해 상기시키고 싶다”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선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의 군사적 위협에 대처한 응당한 대응조치이며 자주권과 영토 완정을 수호하기 위한 정당 방위권 행사”라며 “위성발사를 포함한 주권국가의 모든 합법적 권리들을 행사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동조치들을 지속적으로 취해나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