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코레일 임추위의 평가 결과 유출에 대해 강경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5일 국토부 고위 관계자는 “이번 자료 유출 건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 생긴 것”이라며 “국토부 철도국과 코레일 감사실이 합동으로 유출 경위파악과 책임자 문책을 위한 감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자료 유출 과정에서 민간인이 연루된 상황이 확인될 경우 감사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경위 파악과 책임소재를 밝히기 위해 수사의뢰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도 이날 오전 열린 간부회의에서 “코레일 사장 선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특정학교 출신들이 여러 이유로 구설에 오르고 우려가 나오는 상황은 절대 용납해서는 안된다”는 취지의 강경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1일 오후 코레일 사장 선임을 위한 임추위가 열려 후보자 평가와 면접이 진행된 직후인 2일 국립철도고등학교(철고) 동문이 운영하는 한 유명 포털의 블로그에 평가 결과가 모두 공개돼 파문이 일었다. 〈중앙일보 6월 3일 온라인 단독 보도〉
‘긴급 속보! 철도공사 사장 임명 추천위원회 면접결과 [동문 2명 통과]’라는 제목으로 게재된 글에는 5배수에 들어간 인사의 명단과 전ㆍ현직 직위, 출신학교 등이 담겨있었다. 또 최고 득점자와 탈락자 이름도 공개됐다. 해당 글은 현재는 삭제된 상태다.
![유명 포털 블로그에 공개된 임추위 평가결과. [블로그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6/05/d16a0e8b-902f-4792-8e72-06fbe85e9ae9.jpg)
유명 포털 블로그에 공개된 임추위 평가결과. [블로그 캡처]
관련 규정상 이 과정에서 누가 3~5배수에 들었는지는 물론 누가 응모했는지도 공개해서는 안 된다. 심지어 평가결과를 공운위에 보낼 때도 순번 없이 가나다순으로 보내야 한다. 이 때문에 그동안 공기업의 사장 추천 관련 세부 내용이 통째로 공개된 적은 없다.
익명을 요구한 철도업계 관계자는 “보안이 필수인 임추위 결과가 통째로 외부로 유출된 건 현재의 코레일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른바 특정학교를 중심으로 한 철도 마피아의 폐해가 부활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대전에 있는 코레일 본사. [사진 코레일]](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6/05/2fc13a6a-aaa1-4613-aad8-c0634ec39a94.jpg)
대전에 있는 코레일 본사. [사진 코레일]
실제로 코레일과 국가철도공단 등 철도 관련 공기업에서는 철고와 한국철도대학(철전)같은 특정학교 출신들이 요직을 독차지하고 서로 지원해주는 등 파벌을 형성하고 있다는 비판이 끊이질 않았다.
논란이 불거지자 코레일은 감사실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경위 파악과 유출자 확인에 나섰다. 하지만 당사자인 코레일에만 사태 수습을 맡겨서는 안 된다는 지적에 따라 국토부가 본격적으로 칼을 빼 들게 된 것이다.
국토부와 코레일 안팎에선 임추위 관련 세부 내용에 접근할 수 있는 코레일 관계자가 제한적이라서 유출 경위 파악이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