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오전 국회 의원실 앞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의원. 경찰은 이날 최 의원의 휴대전화와 의원실을 압수수색 했다. 연합뉴스
경찰은 임씨가 한 장관과 가족들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인사청문 자료를 최 의원으로부터 받은 정황을 포착하고 이날 압수수색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확보된 증거를 통해 최 의원이 한 장관 개인정보 유출 사건의 출발점으로 확인될 경우 소환 조사 등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수사에 착수한 경찰은 서씨가 확보한 자료전달 과정을 역추적했고, 이 과정에서 임씨의 개입 정황을 확인해 지난달 30일 오전 임씨 주거지와 차량을 압수수색했다. 이를 통해 임씨 휴대전화와 관련 문서 등을 확보했고, 국회사무처 의안과에도 수사관들을 보내 한 장관 인사청문회 당시 국회에 제출된 자료들도 확인했다. 압수수색 대상 중 서울 상암동 MBC 본사도 포함돼 경찰과 전국언론노조 MBC본부 조합원들이 한시간가량 대치하기도 했지만, 사내변호사와 함께 본사 내에 들어간 경찰은 “(임씨의) 책상을 확인하고, 압수물이 없어서 철수했다”고 밝히며 언론사 압수수색으로 인한 논란은 일단락됐다.

5일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의원실 압수수색에 나선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 수사관들의 모습. 뉴스1
최 의원은 취재진과 만나 “명백히 말씀드리지만 저와 제 보좌진 모두 임씨를 알지 못한다”며 “저와 관련된 기자와 접촉한 흔적이나 상의한 흔적이 확인되면, 하다못해 통화 내역 조회를 근거로 영장을 신청하고 압수수색하는 것이 맞는데 한 번도 만나거나 접촉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동훈 장관이 아니었다면 이렇게 했겠는가. 장관 개인의 문제로 공권력을 오·남용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