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이 정한 안전한 유언 방식
민법에 따르면 자필증서는 ‘자필’로 써야 한다. 누가 대신 써주거나 컴퓨터로 쓰는 건 안 된다. 자필로 쓴 유언장 뒤에 컴퓨터로 작성한 재산목록을 첨부했다면 무효라는 게 판례다. 날짜를 적을 때는 연·월·일 모두 적어야 한다. 이름 옆에는 도장이나 지장을 찍어야 하는데, 사인했다가 무효가 된 판례도 있다. 고인의 글씨체가 맞는지 생전 은행 거래 서류, 아파트 매매계약 서류 등으로 필적감정을 하는 일도 빈번하다. 둘째 아들의 소송 결과 유언장은 법적으로 ‘완벽한’ 유언장이었고, 결국 둘째 아들은 소송에서 이겼다.

유언 vs 유언대용 신탁 어떻게 다를까.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또 자필증서에서 글씨체를 두고 다투듯, 녹음 유언에서는 파일의 진위를 두고 다툰다. 짜깁기한 영상을 재판부가 “유언자의 진의에 의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본 경우도 있다. 파일을 카카오톡이나 메일로 받아서 저장해 두는 일도 흔하지만, 분쟁의 불씨가 될 수 있다. 분쟁을 피하기 위해서는 원본 파일이 담긴 녹음기기를 그대로 보관하는 게 안전하다.
공정증서 방식은 유언자가 공증인과 증인 2명 앞에서 유언하는 방식이다. 공증인은 법무부 장관으로부터 임명받은 사람, 공증인가를 받은 법무법인 등을 말한다. 공증인은 유언을 필기하면서 들은 뒤 낭독해서 유언자로부터 확인을 받아야 한다. 유언자가 반혼수 상태로 고개를 끄덕인다? 무효라는 판례가 있다. 이 외에 비밀증서, 구수증서 방식의 유언도 민법에서 인정한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녹음 유언의 경우 녹음파일에 담긴 맥락도 중요한 증거가 된다. 유언서를 낭독해 녹음 유언을 남긴 김효상(가명)씨. 김씨가 숨진 뒤 ‘의사능력이 있는 상태였는지’를 두고 분쟁이 벌어졌는데, 녹음 속 김씨의 짧은 발언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김씨는 “산, 산이 하나 있었는데, 거기 번지가 얼마지?”라고 말했었는데, 재판부는 이를 토대로 김씨가 자신의 재산 상태를 잘 파악하는 등 인지능력이 분명한 상태라고 판단했다.
최근에는 각종 분쟁을 피하기 위해 금융기관의 유언 대용 신탁상품도 많이 이용한다. 유언장이나 다른 상속인 동의 없이도 특정 수익자에게 재산을 나눠줄 수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또 부광득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는 “유언의 효력에 문제를 제기하는 분쟁이 요즘 많아지는 추세다. 분쟁을 예방하려면 가능하다면 여러 유언 방식 중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을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당신의 법정(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40)
살다 보면 이러저런 법률 문제가 생기게 마련입니다. 검색해 봐도 속시원한 답은 없고, 변호사를 만나는 것도 간단치 않습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이번엔 유언장 관련 분쟁입니다. 안전한 유언장의 요건과 민법이 정한 다섯 가지 유언 방식, 변호사의 유언 분쟁 피하는 법 등을 볼 수 있습니다. 더중앙플러스 ‘당신의 법정(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40)’으로 오세요.
① 아빠 재산 받은 후처의 진실…상속 뒤 시작되는 ‘상속 싸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9558
② “연명치료 원치 않습니다” 공증까지 받아도 효력 없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6340
③ “산사태 예방 사업입니다”…내 땅에서 내 허락도 없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4601
④ 층간소음 측정앱 소용없다, 법원이 믿는 ‘진짜’ 증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4169
살다 보면 이러저런 법률 문제가 생기게 마련입니다. 검색해 봐도 속시원한 답은 없고, 변호사를 만나는 것도 간단치 않습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이번엔 유언장 관련 분쟁입니다. 안전한 유언장의 요건과 민법이 정한 다섯 가지 유언 방식, 변호사의 유언 분쟁 피하는 법 등을 볼 수 있습니다. 더중앙플러스 ‘당신의 법정(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40)’으로 오세요.
당신을 위한 생활법률 콘텐트
② “연명치료 원치 않습니다” 공증까지 받아도 효력 없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6340
③ “산사태 예방 사업입니다”…내 땅에서 내 허락도 없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4601
④ 층간소음 측정앱 소용없다, 법원이 믿는 ‘진짜’ 증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4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