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상근 해양수산부 차관(왼쪽에서 두 번째)이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16일 “일본 후쿠시마 지역의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국민이 안전하다고 느낄 때까지 인근 수산물 수입 금지 해제를 검토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전날에 이은 두 번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다. 정부는 국민 우려를 해소하겠다며 코로나19 발생 때처럼 매일(주말 제외) 브리핑을 열고 있다.
송상근 해양수산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대규모 방사능 유출이 있었음을 일본 정부가 2013년 7월 인정함에 따라 후쿠시마를 포함한 인근 8개 현에서 생산하는 수산물에 대해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며 “최근까지도 지속해서 보고되는 후쿠시마 인근 지역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 사례는 수입 금지 조치를 해제할 수 없는 중요한 이유”라고 밝혔다. 오염수 방류가 수입 금지 해제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2013년부터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금지
송 차관은 “방사성 세슘 기준인 ㎏당 100베크렐(㏃)은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인 코덱스가 정하는 1000㏃보다 10배 엄격한 것”이라며 “모든 검사 결과는 수입식품 방사능 안전정보 누리집에서 매일 공개한다”고 덧붙였다.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절차 이미지. 오염수 방류는 'ALPS-일반 오염수 저장탱크-K4 탱크-방류' 순으로 진행되며 K4 탱크 내 오염수의 핵종 농도가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다시 ALPS를 거쳐 K4 탱크로 오는 과정을 거친다. 그래픽 중앙SUNDAY
지난달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 ‘국민 신청 수산물 방사능 게시판’의 신청 폭증 우려에 대해서는 “4월 24일부터 현재까지(시범 운영 기간 포함) 신청받은 결과 주간 신청 건수가 9~41건”이었다며 “신청이 많이 늘어날 것에 대비해 생산 단계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 장비를 29대에서 53대로 늘리겠다”고 말했다.
현재 이 게시판에서 누구나 주 1회 방사능 검사를 신청할 수 있으며 해수부는 신청이 많은 품목을 매주 10개 선정해 방사능 검사 후 결과를 공개한다.
오염수 방류 불안감에 따른 천일염 사재기 현상에 관해서는 “소비 불안 심리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판단한다”며 “올 4~5월 기상 여건이 안 좋아 생산량이 예년보다 11%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6월부터 생산량이 예년 수준으로 회복됐다”며 과한 우려를 경계했다.

범정부 TF 기술검토위원장인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허균영 교수가 16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핵종 제거 성능 등 집중 검증 필요”
ALPS가 2013년 6월 설치 이후 지난해 7월까지 8번 고장 났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시찰단이 확보한 자료에서 설비 부식, 전처리 설비 필터, 배기 필터 등 8건의 고장을 확인했으며 관련 내용을 분석 중”이라며 “정기점검 항목과 설비 유지 관리 계획도 추가로 확보해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일본 입장을 대변한다는 등의 논란을 의식한 듯 “일본에 대한 현황을 상세히 설명하는 이유는 정보를 보다 정확히 알아야 합리적인 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일본의 기술적 주장을 그대로 설명하기보다 집중해야 할 부분을 같이 언급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