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명섭 기자 =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난 2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글로벌 창업대국으로 도약을 위한 스타트업 코리아 종합 대책 발표를 하고 있다. 2023.8.30/뉴스1
무슨 일이야
이게 왜 중요해
뭐가 달라지는데?
정부는 한국 창업 생태계의 글로벌화를 위해 외국인이 국내에서 쉽게 창업하고 스타트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우선 전문인력(E-7) 비자 발급 요건을 완화한다. 기술성과 사업성을 갖춘 경우 창업 비자를 부여하고, 사업화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한다. 외국인 창업자를 지원하는 ‘글로벌 스타트업 센터’도 만든다. 개발도상국 우수 대학생이 소프트웨어(SW) 교육을 받은 뒤 국내 스타트업에 취업하도록 돕는 ‘K-테크 칼리지’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글로벌 기업과 스타트업 등이 교류할 수 있는 창업 허브인 ‘스페이스-K’를 수도권에 조성한다. 유럽의 스타트업 허브로 유명한 프랑스 ‘스테이션 F’를 벤치마킹했다. 디지털 가상공간에서 교류할 수 있는 플랫폼 ‘K-스타버스’도 추진한다.
② 민관 합동 펀드도: 정부가 5000억원, 민간이 1조5000억원을 각각 출자해 내년부터 2027년까지 총 2조원 규모의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금융권, 성공한 벤처 기업, 대기업 등과 정부 모태펀드가 함께 출자하는 방식이다. 해당 펀드는 딥테크(원천 기술), 글로벌 진출, 회수(세컨더리)에 집중 투자한다. 보조금이나 출연금으로만 구성됐던 창업지원금을 보조금에 투자·융자를 결합하는 형태로 다각화한다. 기업이 필요에 따라 보조금 외에 투자나 융자를 받을 수 있고, 추후 기업이 성장하면 정부가 원리금을 회수하는 식이다.
③ 지역 창업도 지원: 지역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방 스페이스 K’(가칭)로 지방 청년창업 복합공간을 구축한다. 지역 내 산발적으로 위치한 스타트업 혁신 기관과 유관 기관을 ‘스타트업 클러스터’ 내로 집적한다. 스타트업 클러스터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민간이 주도하는 전담 기관도 신설할 계획이다.
④ 대기업도 함께: 정부는 또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협력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기부와 삼성전자가 공동으로 유망 팹리스 스타트업을 선발해 지원하는 ‘팹리스 챌린지’ 같은 협력 프로그램을 인공지능(AI)‧미래모빌리티 등 초격차 10대 분야 전체로 확대한다. CVC(기업형 벤처캐피털)가 적극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외부 출자 및 해외투자 한도 규제 등도 손보기로 했다.
⑤ 창업분위기 조성: 고교에서 기업가정신 교육을 강화한다. 2025년 고교학점제 도입에 맞춰 기업가정신 관련 인정 도서를 개발하고, ‘발명과 기업가정신’ 등 과목 편성도 추진한다. 기술 인재들의 군 복무 제도인 ‘과학기술전문사관’을 창업 교육·사업화 지원과 연계하고, 대학이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를 도입하면 관련 정부 지원 사업에서 우대한다.

차준홍 기자
과제는
이번 종합 대책의 내용을 실현하려면 타 부처의 협력이 필수다. 특히, 외국인의 국내 스타트업 취‧창업을 활성화하려면 법무부의 비자 발급 관련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영 장관은 “법무부와 상당 부분 합의에 이르렀으나 세부 사항에 시각차가 있다”며 “협의체를 구성해 실질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