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촬영한 충북 청주 낭성면 추정리 산골 메밀밭. 사진 추정리 경관밀원 추진위원회
“눈꽃 정원에 온 듯”…3만㎡ 메밀밭 장관
추정리 된내기골 깊숙이 자리 잡은 이 메밀밭은 ‘꿀벌 박사’ 김대립(49)씨가 30여 년 전부터 양봉 터로 가꾼 곳이다. 봄에는 유채를 심고, 여름 끝자락인 처서 무렵 메밀 씨앗을 심는다. 토종 메밀은 8월 말 파종하면, 30일이 지나 꽃이 핀다. 매년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보름 정도 산허리를 하얗게 수놓은 메밀꽃이 장관이다.
3만㎡ 규모 추정리 메밀밭은 워낙 외진 곳이라 몇몇 사진작가만 알던 장소였다. 2020년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지속하면서 가족 단위 관람객이나 젊은 층이 몰렸다. 눈 서리를 맞은 것처럼 새하얀 메밀꽃을 배경으로 한 사진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오면서 금세 ‘핫플레이스’가 됐다.

지난해 촬영한 충북 청주 낭성면 추정리 산골 메밀밭. 사진 추정리 경관밀원 추진위원회
‘꿀벌 박사’ 김대립 명인, 양봉 터로 조성
이 메밀밭은 원래 꿀벌에게 먹이를 주기 위한 밀원(蜜源) 자원으로 조성했다. 밭 인근에 계절마다 꿀을 채취할 수 있는 산수유·밤나무·복숭아나무·앵두나무·보리수·모과나무 등 밀원수 20여 종을 심었다. 김씨는 할아버지와 아버지에 이어 3대째 꿀벌을 기르고 있다. 10여 년 전부터 지자체 ‘경관보전직불제’ 사업으로 990㎡당 조성비 17만원을 지원받아 메밀밭을 가꿨다.
김씨는 2021년 농촌진흥청이 선정한 토종벌 1호 명인이다. 메밀밭 양봉장에서 꿀벌 400군(400만 마리)을 키운다. 9살 때부터 어깨너머로 양봉을 배웠고, 고교 시절부터 토종벌 연구를 했다고 한다. 2010년 국내 토종벌 98%를 폐사시킨 ‘낭충봉아부패병’ 발병 당시 해충방지벌통을 개발해 양봉 농가를 도왔다.

지난해 촬영한 충북 청주 낭성면 추정리 산골 메밀밭. 사진 추정리 경관밀원 추진위원회
사진 촬영 장소로 입소문…전국서 발길
추정리 산판소리는 신라 진흥왕 때인 551년 우륵이 불렀던 노동요를 이 마을 주민이 대대로 부르면서 명맥이 유지됐다고 한다. 김씨는 “꿀벌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놨더니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찾아오더라”며 “13년 전 낭충봉아부패병 확산으로 중단한 토종꿀 축제를 추정리 대표 행사로 키우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