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구 등 비서울지역 주담대 급증
가계대출 추이는 서울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서울지역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6월 대비(354조4300억원) 올해 6월(346조3200억원) 2.2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0.01%(228조2720억→228조296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쳐, 큰 변화가 없었다. 서울 제외한 전국 16개 광역시·도 중 인천(1.94%)을 제외하고 다른 지역들도 모두 가계대출이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지역별 주택담보대출 양상은 달랐다. 1년 전과 비교해 지난 6월 주택담보대출은 경북(8.51%)과 대구(8.31%)·경남(6.72%)·강원(6.49%)에서 전국 평균이나 서울보다 높은 증가세가 나타났다. 같은 기간 수도권인 경기(2.53%)와 인천(5.29%)의 주택담보대출 잔액도 전국 평균과 서울보다 더 많은 증가율을 보였다. 17개 광역시·도 중 전국평균보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율 높은 곳은 11개에 달했다.
주택담보대출의 절대액도 역시 비서울지역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1년 전과 비교해 지난 6월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경기에서만 4조4000억원 증가하면서 전국 전체 증가액의 32.3%를 차지했다. 이어 대구(2조780억원)·인천(2조2530억원) 순으로 주택담보대출이 많이 늘었다.
대출규제 까다로운 서울 피해 ‘풍선효과’
다만, 지역별 주택담보대출 차이가 집값과 직접 연관되진 않았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누적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서울이 2.8% 감소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대구(-8.46%)·경남(-5.04%)·인천(-4.94%)·경기(-6.68%) 등 주택담보대출이 많이 늘어난 비서울 지역의 집값 감소 폭보다 오히려 더 작았다. 진 의원은 “지역별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각 금융소비자에 대한 맞춤형 민생회복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