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안 륄리에 스웨덴 룬드대 원자물리학 교수가 3일(현지시간) 노벨 물리학상 수상 소식이 알려진 후 취재진과 만나고 있다. AFP=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AP·AF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피에르 아고스티니, 페렌츠 크러우스와 함께 2023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륄리에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상을 받았다는 전화가 왔을 때 학생들을 가르치던 중이었다"고 말했다.
륄리에는 당시 학부생 약 100명을 대상으로 기초 공학 물리학 수업을 하고 있었다. 그는 휴대전화를 무음으로 해뒀다가 쉬는 시간에 부재중 연락을 확인하고 노벨 위원회에 전화를 걸었다.
노벨상 수상 소식을 들은 뒤 륄리에는 수업을 마치는 게 어려웠다고 농담했다. 수상 사실은 비밀이라 학생들에게 알릴 순 없었지만 다들 추측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노벨상 수상자 발표 기자회견을 위해 수업을 조금 일찍 마쳤다.

안 륄리에 교수가 수업 중간 쉬는 시간에 노벨물리학상 수상 소식을 듣는 모습. 사진 노벨 위원회 엑스(옛 트위터) 캡처
륄리에는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데 대해 "가장 권위 있는 상을 받게 돼 정말 기쁘다. 믿을 수 없다"며 "아시다시피 이 상을 받은 여성이 그리 많지 않아 더 특별하게 느껴진다"는 소감을 전했다.
륄리에는 역대 다섯번째이자, 2020년 이후 3년 만의 여성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다. 역대 여성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는 1903년 마리 퀴리, 1963년 마리아 메이어, 2018년 도나 스트리클런드, 2020년 앤드리아 게즈 등 4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