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녹원 딥엑스 대표와 윤일용 포스코DX 상무가 지난달 27일 경기 성남시 판교 딥엑스 본사에서 인공지능(AI) 반도체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우상조 기자
“인공지능(AI) 기술이 공장의 사람을 모두 대체할 수 있지만, 아직은 인건비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보다 저렴해 그렇게 못하고 있어요. 반도체가 사람보다 비싸서 사람이 일을 한다? 참 슬픈 얘기잖아요. 가격은 20분의 1, 전력소모는 60분의 1 수준인 ‘껌 사이즈’의 제품(DX-M1)으로 엔비디아가 못해낸 일을 해내겠습니다.”
김녹원 딥엑스 대표의 말이다. 이에 윤일용 포스코DX AI기술그룹 상무는 “현재 딥엑스의 제품을 포스코DX의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인 ‘포스마스터’에 적용해 AI 공장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며 “기존 자동화가 불가능했던 분야까지 모두 자동화 시키는 게 목표”라고 답했다.
‘토종 AI 반도체’로 ‘토종 스마트팩토리’ 기술 개발에 함께 나서고 있는 두 사람을 지난달 27일 경기 성남시 판교 딥엑스 본사에서 만났다. 애플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설계 수석연구원 출신인 김 대표는 2018년 AI반도체 팹리스(설계기업) 딥엑스를 창업했다.
딥엑스는 AI용 신경처리망장치(NPU) 4개 제품군(연산성능순으로 L1·L2·M1·H1)을 개발했다. 현재 포스코DX와 실증 중인 M1·H1은 삼성전자 DS(반도체)부문의 5나노미터(㎚·10억 분의 1m)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정으로, L1·L2는 각각 28㎚·14㎚ 공정이 활용됐다.

윤일용 포스코DX 상무가 지난달 27일 경기 성남시 판교 포스코DX 본사에서 딥엑스의 인공지능(AI) 반도체를 기반으로 구현한 물류 이동 시스템 모형을 소개하고 있다. 판교=고석현 기자

딥엑스의 인공지능(AI) 반도체를 기반으로 구현한 물류 이동 시스템. 판교=고석현 기자
딥엑스를 왜 창업했나
스마트팩토리에 AI가 필요한 이유는

김녹원 딥엑스 대표가 지난달 27일 경기 성남시 판교 딥엑스 본사에서 자체개발한 인공지능(AI) 반도체 M1(왼쪽)과 H1(오른쪽)을 소개하고 있다. 우상조 기자
NPU와 GPU의 차이와 장점을 설명해달라
국산 스타트업의 반도체를 채택한 이유는
대기업·스타트업 협력의 의미와 계획은
▶윤 상무 =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으므로 제품의 가능성을 보고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면서 스타트업이 궤도에 올라올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여유가 있다. AI를 비전분야 뿐 아니라 공정 예측 기반 제어 기술, 설비 이상 감지 기술 등에도 접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