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통계청에 따르면 대표적인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지난 8월 102.6(2020년=100)을 기록했다. 지난해 8월(108.2)에 비해 5.2% 하락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본격화했던 2020년 3월(-7.1%) 이후 3년5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다. 전월 대비로는 0.3% 줄었다. 7월(-3.3%)에 이은 2개월 연속 감소로, 역시 작년 4∼7월 이후 1년여 만에 처음이다.

김영옥 기자
구체적으로 준내구재(의복ㆍ신발ㆍ가방 등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저가 상품)가 1년 전에 비해 7.6% 감소했고, 비내구재 가운데서는 음식료품의 소비가 8.3% 줄었다. 소비 심리와 연관성이 높은 숙박ㆍ음식점업은 4.4%, 도매ㆍ소매업은 3.6% 각각 감소했다. 이런 소비 둔화 흐름은 한국은행의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자료에도 나타나는데, 2분기 민간소비는 전분기보다 0.1% 감소한 바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7월에 호우라는 일시적 요인 때문에 소매판매의 감소 폭이 컸다면, 8월에는 ’플러스‘가 나왔어야 했다”며 “8월에도 '마이너스'였다는 것은 지금 소비가 안 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수출이 빨리 회복을 못 하는 상황에서 소비가 어느 정도 역할을 해주면 좋은데 그렇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는 가계의 자금 사정이 과거보다 나빠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분기 가계의 월평균 흑자액은 114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8%(18만3000원) 감소했다. 2020년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흑자액‘은 소득에서 비(非)이자지출을 차감한 처분가능소득에 소비지출까지 뺀 금액으로, 쉽게 말해 가계가 번 돈에서 세금ㆍ연금 보험료ㆍ이자 등을 내고 식료품 등을 산 뒤에 남은 여윳돈을 뜻한다.

김영옥 기자
고물가도 가계의 자금 사정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2분기 가계의 소비 지출은 월평균 269만1000원으로 작년 같은 시기보다 2.7%(7만1000원) 늘었다. 그러나 물가를 고려한 실질 소비 지출은 0.5% 줄었다. 가계가 실제 씀씀이를 줄였지만,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살림을 위해 지출한 돈은 더 늘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소득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고금리ㆍ고물가가 이어지며 가계 살림은 더 팍팍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원금과 이자는 갚더라도 이제 쓸 돈이 줄었다는 것”이라며 “가계부채의 덫에 빠졌다는 것인데, 그래서 소비가 좋지 않다는 것은 변수가 아니라 상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