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진 외교부 장관과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대신,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26일 오후 부산에서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했다. 송봉근 기자
3국 협력 '제도화·강화·확대' 합의

박진 외교부 장관은 한중일 외교장관에서 세 장관이 3국 협력의 제도화-강화-저변확대 등 3가지 사항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한·중·일 외교장관은 이날 회의를 통해 ▶3국 협력 제도화 ▶3국 실질협력 강화 ▶3국 협력의 저변 확대 등 3가지 사항에 합의했다. 특히 한·일-한·중-중·일 등 양자 관계의 부침에 따라 3국 정상회의도 중단되는 근본적 문제 해소를 위해 3국 간 다양한 소통채널을 활성화하고, 협력의 제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3국 간에는 정상회의를 비롯해 21개의 장관 회의와 70여개의 각 협의체가 있는데, 이를 더 발전시키는 동시에 중단된 협의체를 재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끝내 무산된 공동기자회견·만찬
외형상 중국 측의 기자회견·만찬 불참 사유는 왕이(王毅)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의 바쁜 일정 때문이었지만, 실제론 중국이 한·미 외교장관과 함께 나서는 공동기자회견 자체를 부담스러워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중국 측은 빠듯한 일정을 이유로 이날 예정된 공동기자회견과 만찬에 불참했다. 기자회견에서 최근 북한의 핵 개발과 북러 군사협력에 대한 답변을 요구받는 상황을 피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사진은 2019년 6월 북한을 방북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관중석에 인사하는 모습. [신화=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11/27/25d52d6f-fe05-4b8c-b903-7d06c6d28508.jpg)
중국 측은 빠듯한 일정을 이유로 이날 예정된 공동기자회견과 만찬에 불참했다. 기자회견에서 최근 북한의 핵 개발과 북러 군사협력에 대한 답변을 요구받는 상황을 피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사진은 2019년 6월 북한을 방북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관중석에 인사하는 모습. [신화=연합뉴스]
'中 역할론' 강조하고 소통 물꼬 텄다

26일 한국 부산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인사를 나누는 박진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 공동취재단
왕이 위원은 한반도 정세의 안정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겠다고 말하면서도 정작 안보 불안의 원인을 제공한 북한의 책임을 언급하진 않았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위원은 “지금까지, 또 앞으로도 계속해서 한반도 정세의 완화를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발휘하겠다”고 말했다. 또 “양국은 경제문제의 정치화, 과학기술문제의 도구화, 경제무역문제의 범안보화 경향을 함께 배척해야 한다”며 미국의 대중 첨단기술 수출통제에 한국이 동참하지 말 것을 사실상 권유하기도 했다.

북한은 지난 21일 세 번째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다. 연합뉴스
북핵 문제를 둘러싼 한·중 간 입장차는 여전했지만 이번 회담을 계기로 양국 소통 복원의 물꼬를 튼 점은 성과로 꼽힌다. 최근 APEC 정상회의 기간 미·중-중·일 정상회담은 열렸지만 한·중 정상회담이 개최되지 않아 한·중 냉각기가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으나, 이날 회담에서 양국은 우호 협력 강화 의지를 확인했다. 계획대로 내년 초 한·중·일 정상회의가 개최된다면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 소통과 교류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
日 엑스포 개최지 韓 지지 표명

박진 외교부 장관이 26일 부산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과 악수를 나누는 모습. 공동취재단
한편 부산에서 한·중·일 외교 수장이 머리를 맞댄 가운데 한·미·일 3국은 이날 제주 동·남방 공해상에서 북한 핵·미사일 개발을 억제하고 무력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연합 해상훈련을 실시했다. 북한의 3차 위성 발사에 대한 맞대응 차원에서 우리 해군의 세종대왕함과 미 항공모함 칼빈슨함, 일본 해상자위대의 키리사메함이 훈련에 참가했다. 또 북한이 지난 7월 신형무인기를 공개한 데 맞서 이번 훈련에선 미사일·항공기 도발 상황을 가정한 해상기동훈련도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