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L이앤씨 본사 전경. DL이앤씨 제공

박경민 기자
CSO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안전보건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주요 기업들이 도입한 직책이다. 실제 DL이앤씨를 제외한 나머지 4개 건설사는 모두 CSO를 CEO와 별도로 분리했고, 독립 기구 형태로 운영하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삼성물산의 경우 안전보건실장을 별도 CSO로 선임해 관리하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에선 지난해부터 중대재해 사망자가 1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DL이앤씨 조직도. 마창민 대표이사가 주택 부문 최고안전책임자(CSO)를 겸직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실 제공
반면 DL이앤씨는 조직도상 각 부문(주택·토목·플랜트)별 CSO를 두면서도, 주택 부문에선 마창민 DL이앤씨 대표이사가 CSO를 겸직하고 있다. DL이앤씨 측은 “공정을 잘 이해해야 안전을 책임질 수 있는 만큼 경영지원본부장 겸 주택사업본부장을 맡고 있는 마 대표가 주택 부문 CSO 적임자라고 판단했다”며 “CEO가 CSO를 겸직함으로써 책임을 다하겠다는 의미도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경영 책임자와 안전 책임자는 분리 운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업의 경영 효율화 전략에 적절히 제동을 걸어주는 역할을 안전을 책임지는 CSO가 수행해야 하는데, 두 책임자가 동일하다면 내부 견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노웅래 의원은 “CEO가 CSO를 겸직하면 안전보건을 위한 내부 견제기능이 무용지물이 된다”며 “DL이앤씨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대국민 사과를 했음에도 형식적인 안전관리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경민 기자

DL이앤씨 사고 경위 PPT 내용. 관리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임의로 작업이 이뤄졌다는 취지다.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실 제공
모두 사고 발생 원인이 하청의 부주의에 있다는 취지지만, 안전 책임 의무가 있는 원청이 ‘을’의 위치에 있는 협력업체에 책임을 떠넘긴다는 지적이 나온다. 노 의원은 “작업현장에 허가받지 않은 인력이 들어가서 작업을 한다는 것 자체가 DL이앤씨가 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감독을 소홀히 했다는 것으로 안전불감증의 전형”이라고 밝혔다.
이에 국회 환노위는 1일 산업재해 청문회를 열고 이해욱 DL그룹 회장을 불러 잇단 사망사고 경위와 재발방지책에 대한 질의를 할 계획이다. DL그룹도 청문회 출석에 앞서 지난 21일 산업재해 관련 유족들에 대한 사과와 합의를 진행하고, 협력사들과 중대재해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간담회를 진행하기도 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청문회에서 사고 발생 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을 진정성 있게 설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