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 족발보쌈세트!""시발점? 욕이잖아!"…요즘 학생들 문해력

교실. 기사 내용과 무관한 사진. 뉴스1

교실. 기사 내용과 무관한 사진. 뉴스1

 
"사건의 시발점이라고 했더니 선생님이 욕하냐고 하더라", "족보를 족발보쌈세트로 알고 있다", "두발자유화 토론하는데 두발이 두 다리인 줄 알았다더라", "체험학습 중식 안내를 보고 짜장면 먹냐고 물어봤다".

학교 현장에서 체감하는 학생들의 문해력 수준이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제578돌 한글날을 맞아 전국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학생 문해력 실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9명 이상이 "학생들의 문해력이 과거에 비해 저하됐다"고 답했다.  

조사에서 '학생들의 문해력이 과거에 비해 어떻냐'는 질문에 교원 91.8%가 '저하됐다'고 답했다. 이 중 '매우 저하됐다'는 39%였다. 해당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48.2%, '31% 이상'은 19.5%였다.  

또 글의 맥락과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응답은 46.6%, 어려운 단어나 한자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은 67.1%였다.  

도움 없이는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은 30.4%,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시험을 치기조차 곤란한 학생이 21% 이상'이란 답변도 21.4%를 차지했다.  


교원들은 "고3이 풍력이 뭐냐고 물었을 때 난감했다", "6학년이 성명의 뜻을 모른다", "이부자리를 별자리로 알고 있다", "6학년 아이들 언어능력 평가를 했는데 대부분 3학년 이하 수준으로 나왔다", "단어까지 가르치면서 진도 나가기가 너무 힘들다", "정기고사 때 질문이 대부분 낱말 뜻이다" 등의 구체적인 사례를 언급했다.  

교원들은 학생 문해력 저하의 원인에 대해 '스마트폰, 게임 등 디지털매체 과사용'(36.5%)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독서 부족(29.2%), 어휘력 부족(17.1%), 기본 개념 등 지식 습득 교육 부족(13.1%) 순이었다.  

학생 문해력 개선을 위해 필요한 방안으로는 독서활동 강화(32.4%)가 가장 많이 꼽혔고, 어휘 교육 강화(22.6%),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20.2%), 토론‧글쓰기 등 비판적 사고 및 표현력 교육 강화(11.4%)가 뒤를 이었다.  

교총은 "학생들이 다른 사람 도움 없이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고 시험 치기도 곤란한 현실은 정말 심각한 문제"라며 "문해력 저하는 학습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와 향후 성인이 된 이후 사회생활에도 부정적 영향과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전체 문맹률은 1~2%대로 매우 낮다고 하지만 이것이 문해력이 높다는 것으로 착각해선 안 된다"며 "학생 문해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단‧분석부터 시작하고, 디지털기기 과의존‧과사용 문제를 해소하는 법‧제도 마련 및 독서, 글쓰기 활동 등을 강화하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