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5만2000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4.4% 늘었다. 항목별로 근로소득(332만900원)이 취업자 증가와 임금 상승의 영향으로 3.3%, 이전소득(78만4000원)이 국민·기초연금 수급액, 부모급여 인상 등에 따라 7.7% 늘며 소득 증가세를 견인했다
물가 상승률까지 반영해 실제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실질소득도 1년 전보다 2.3% 늘었다. 실질소득은 올해 1분기 1.6% 줄었다가 2분기(0.8%) 반등한 뒤 2분기 연속 증가세다. 이지은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연초까지 고물가로 1분기 실질소득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최근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며 플러스(+) 추세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통계 곳곳에서 자영업자와 저소득층이 내수 침체 영향을 받은 흔적이 드러났다. 우선 ‘적자 가구’ 비율은 23.7%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의 4분의 1 가까이가 적자 상태란 의미다. 1년 전보다 0.9%포인트 줄었다. 적자 가구란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보다 소비 지출이 많은 가구를 말한다. 하지만 소득 상위 20%(5분위) 가구는 적자 가구 비율이 7.1%인데 비해,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는 54.8%에 달했다.
사업소득도 3분기에 0.5% 늘었지만, 실질 사업소득은 1.7% 줄었다. 2분기(-1.3%)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세다. 자영업자가 사업을 통해 실제로 손에 쥐는 소득이 뒷걸음쳤다는 의미다.
소득 수준별 온도 차도 감지됐다. 1분위 가구 월평균 소득은 118만2000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5.4% 늘었다. 기초생활보장 강화 등으로 이전소득(10.4%)이 늘어난 영향이다. 그런데 근로·사업소득은 각각 3.4%, 8.6% 감소했다. 정부가 쥐여주는 돈 말고는 벌이가 줄었다는 얘기다. 반면 5분위 가구 월평균 소득은 1154만3000원으로 같은 기간 6.5% 늘었다.
빈부 격차 수준을 나타내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69배로 지난해 2분기(5.55배) 대비 소폭 올랐다. 5분위 배율이 늘어나면 1분위와 5분위 격차가 커졌다는 의미다. 5분위 배율이 2분기 연속 악화한 건 2022년 2~3분기 이후 처음이다.
한은이 같은 날 기준금리를 내린 것도 내수 부진이 심각한 상황이라서다. 가계부채와 고환율 리스크(위험)에도 불구하고 10월에 이어 2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내렸을 정도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내수를 살리려고) 기준금리까지 내린 만큼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강조한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라도 자영업자·저소득층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오현경 기획재정부 복지경제과장은 “일자리 창출과 복지 지출 확대, 동절기 생계비 부담 완화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